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산마을>차 이야기

이곳은 누구나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조회 수 964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와 향생활



                - 차 마실 때, 왜 향을 피우나-





향기로운 것은 잠이 들어도 향기롭다.
그 잠들어 있는 향기를 흔들어 깨우는 것이 차생활이다.
마른 찻잎 속에 잠자는 향기를 깨워 한잔의 차를 따르면,
찻잔에는 대이슬을 머금은 찻잎에 담겼던 봄향기가 가득 피어난다.
그 차를 마시면 향기를 머금었던 청산이 우리 마음속에 들어와 앉는다.
내가 청산이 이고, 바라보는 청산이 바로 나이다.
그 자리에 향 한 자루가 피어오른다.





차를 마실 때, 왜 향을 피우느냐는 질문을 받는다.


자리를 청정하게 하고, 화로에서 나는 잡내를 제거하기 위한 배려이다.





우리나라의 향문화의 기원을 흔히 <삼국유사>에 실린
불교의 도입 시기인 묵호자에서 찾게 된다.
아직 불교가 신라의 국교가 되기 전인 19대 눌지왕 때,
중국의 양나라에서 의복과 함께 향을 보내 왔는데,
이 향으로 묵호자가 공주의 병을 고침으로써 향이 단순히 방향제가 아닌
질병의 치료에도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묵호자는 '향을 태우면 그 정성이 신성한 곳에 이른다'라고 하였다.
이 기록은 향이 질병 치료 뿐만 아니라 소망을 비는 매개체로 쓰였다는 것과,
불교의 유입을 통하여 향문화가 전래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또다른 사서인 <한단고기>나 <규원사화>에 보면
이 향은 우리의 고대사와 직결된다.
웅녀가 먹었다는 쑥과 마늘은 향신료의 대명사이고,
우리 할아버지 환웅은 신단수를 타고 내려오셨는데,
왜 하필이면 여기에 '단(檀)이라는 글자가 들어 있을까?
여기서 신단수의 단은 이른바 백단, 자단, 흑단의 단이라는 점을
먼저 생각하여야 한다. 흔히 박달나무 단이라고 새기지만,
향기로운 나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뿐만아니라 <규원사화>에서는
단목을 향나무로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보면,
신단수가 향기로운 나무였다는 것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향기롭다는 말이 우리말에서 '단내'라고 표현하는 것에서도,
신단수는 '단내가 신령스런 나무'의 한자식 표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향나무와 쑥이 함께 나타나는 또 다른 예로는,
장례 의식 절차의 하나인 염(殮)이라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향나무를 삶은 물로는 머리를 닦고 쑥을 삶은 물로는 몸을 닦는다.
이는 우리가 신화라고 하는 환웅의 신단수와 웅녀의 쑥이
그대로 우리의 생활 속에서 그대로 되살아나는 부분이다.
신화라고 부정하는 우리의 역사 속으로 죽어서야 비로소 돌아간다.
향나무와 쑥은 바로 우리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상징하는 향기이기 때문이다.





무속에서도 죽은 자의 넋을 천도하는 씻김굿을 씻김이라고 하는 이유도
강신한 넋을 향물, 쑥물 그리고 청정수로 닦기 때문이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향은 신화가 아닌 역사와 생활 속에서 함께 하고 있다.





그럼 이쯤에서 다시 스스로 반문을 한다. 향을 왜 피우는가?
그것은 근본을 잊지 않는다는 뜻이다.
향이 제 스스로를 태워 둘레를 맑게 하듯,
근본을 밝혀 이웃을 밝게 하는 일이다.
그렇게 나의 뿌리를 밝히는 의식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차례에서도
향을 피우고 차를 올리는 것을 보면, 차와 향은 아주 단단한
무형의 고리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잠들어 있는 내 안의 향기를 찾는 일,
향기로운 향생활의 첫걸음이다.





향기로운 것은 또다른 향기로운 것을 만나는 길을 열어준다.
고요한 향을 피우고 정갈한 차를 마시는 자리에 향기로운 벗이 있다.
그 벗의 또다른 이름은 고요하고 정갈한 마음을 닮고자
노력하는 참다운 차인이 아닐까?





박희준(향기를 찾는 사람들) / <차인>.2000년 7,8월호에서








moon

                
  • ?
    섬호정 2006.07.30 07:30
    향.찾.사 /박희준님의 향기를 찾는 사람들 (다음카페)에서 보내온 글 옮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차(茶) 이야기 ㅣ 지리산자락 茶생활 운영자 2005.01.17 3744
64 오랜 침묵 눈 뜨다 1 섬호정 2010.07.21 1515
63 영목다전 우전차 맛 3 도명 2009.05.31 1688
62 薄暮((해질녘에)/ 金時習 2 도명 2009.05.26 1327
61 동차송 2수-초의선사 작 도명 2009.04.16 1354
60 산방다화-4월 그 벚꽃 아래 차 마시며-김필곤 시인편 1 도명 2009.04.16 1701
59 인삼 능가하는 조릿대 도명 2009.03.05 1860
58 흔하면서도 가장 좋은 약초, 조릿대 1 도명 2009.02.16 2772
57 [법정스님]화개동에서 햇차를 맛보다 2 도명 2009.01.31 1256
56 새해차시-공수선차 2 도명 2009.01.08 1122
55 보성다원 1 도명 2008.12.09 1147
54 지리 산죽 4 도명 2008.07.11 1959
53 차는 불로초인가 도명 2008.03.18 2963
52 웰빙시대와 건강차 도명 2008.03.18 1140
51 싱그런 차밭이 우리를 부른다 도명 2008.03.18 1107
50 차의 유래 도명 2008.03.18 852
49 차와 여행 도명 2008.03.18 1139
48 차문화-신라차 화랑차 1 섬호정 2008.03.06 1777
47 1400년을 견뎌온 사리함에 眞香차 공양 도명 2008.02.12 1630
46 茶心-천년의 禪 1 도명 2008.02.01 1265
45 심설 송무(深雪松舞) 1 도명 2008.01.26 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