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2859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일폭포의 ‘봉명산방 봉명선인’ 변규화님에 대한 글은 아마도 필자가 가장 많이 썼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이에 대한 이야기는 물론이요, 그이로부터 듣게 된 지리산의 신비한 사연 등도 여기저기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글로 담아냈다.

<지리산 365일> 전 4권의 상당 부분이 그렇고, 대하르포 <지리산 1994>. 빛깔 있는 책 <지리산>도 그러하다. 전후 50년 동안의 지리산 역사를 담은 <지리산 반세기>, 산 에세이집 <나의 지리산 사랑과 고뇌>에도 그이의 얘기가 실려 있다. 나는 그것도 모자라 인터넷에 올리고 있는 <지리산 통신>이나 <지리산 산책> <지리산 일기>에도 그이의 얘기를 싣고는 했다.

변규화님에 관한 얘기, 또는 그이가 들려준 이야기들을 많이 썼다는 것은 내가 그만큼 그이를 많이 만났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또한 그이가 나에게는 숨겨놓고 들려주지 않는 말이 없었다는 뜻도 된다.

하지만 변규화님은 친근하게 지내면서도 필자를 못마땅하게 생각한 부분도 있었다.
그이는 국사암의 사천왕수에 얽힌 사하촌 사람들의 이상한 행위를 들려준 바 있다. 필자가 그 이야기를 <지리산 1994>에 썼는데, 그것에 화를 내더라는 것.

나는 그 이야기를 한 지인으로부터 전해 듣고 봉명산방을 찾아갔다. 하지만 그이는 언제나처럼 반갑게 나를 맞아주었다. 그이는 같은 말을 두 번 다시 하지는 않았다.
그이는 우리 사이에 언제 서운한 일이 있기라도 했느냐는 듯이 필자에게 또다른 귀에 솔깃한 얘기를 들려주었다.

“나는 밤이 되면 홀랑 알몸이 되어 이 산중을 거닙니다. 달빛이 숲에 부서져 내리면 더욱 좋지. 거추장스런 옷가지를 벗어던진 알몸, 완전한 자유, 그것은 자연과의 교감으로 이어지는 길이기도 하지요.”

그이는 글자 그대로 ‘봉명선인(鳳鳴仙人)’이 돼 있었다. “산이 쑥쑥 자라나요”라는 말로 나를 놀라게 했는데, 오두막 앞 산등성이를 덮고 있는 나무가 자라나는 것을 그렇게 보는 것이었다. “이제는 아침마다 독사와 인사를 나누고는 한다”고도 했다.

지리산 사람들은 대체로 두주불사(斗酒不辭)이다. 하지만 변규화님은 술을 거의 입에 대지 않는다. 담배도 피지 않고, 소식(小食)을 한다. 그래서일까, 그이의 모습은 30년을 하루 같이 변함이 없다.
그이는 ‘지성(知性)의 대화’를 나누는 것을 즐겨한다. 유수의 석학들이 그이를 곧잘 찾아오고는 한다.

2003년 2월부터 필자는 ‘지리산 일기’를 인터넷 카페에 썼는데, 그 해 말까지의 56회 분량이 오용민의 ‘지리산 커뮤니티’(www.ofof.net)에 실려 있다. 그 가운데는 ‘오두막 안쪽의 토담집’이라는 글이 두 편 실려 있다. 바로 변규화님 관련 이야기이다.

변규화님은 당시 자신이 기거하고 있는 오두막 ‘봉명산방’ 뒤편에 또 하나의 토담집을 짓고 있었다. 원래 그곳에는 큰 바위가 있었는데, 그이 혼자서 기계장비를 쓰지 않고 집채 같은 그 바위를 옮겨내는 초능력을 발휘했다.
“초능력이 아니라 ‘머리’지요. 머리를 쓰면 안 되는 일이 없거던!”

필자는 이 ‘지리산 일기’에서 그이가 왜 또 오두막 뒤의 토담집을 짓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었다. 기존 오두막도 그이 혼자 살기에는 넓은 공간이 남아돌고, 더구나 산 아래 목압마을에는 그이가 손수 지은 토담 오두막이 또 한 채 있기 때문이었다.

“저 토담집에는 어떤 가구도 집기도 들여놓지 않을 거요. 오직 나 한 몸 명상도 하고 시간도 보내고…”
그이의 말을 듣고 나는 ‘지리산 일기’에 다음과 같이 썼다.

[봉명산방 뒤의 새 토담집은 변규화님의 마지막 토굴이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그이만의 순수 자연세계, 변규화님의 지리산 생활을 결산하고 마무리하는 공간이 되는 셈이다.
황토 토담과 자연의 숲, 공기와 물, 그이의 맑은 영혼이 서로 어울려 노니는 공간, 아, 얼마나 맑고 깨끗하고 신성한 곳인가!
시공을 초월하여 현세와 내세를 넘나드는 문(門)과 같은 곳이 아닐까!

봉명선인 자신의 손으로 한 뼘 한 뼘 흙을 쌓아 만든 토담집.
구조라면 황토방 하나에 덧문이 달린 것이 전부이다. 방안에는 아무런 가구나 집기도 들여놓지 않는다.
하지만 이 작은 흙방에는 ‘지리산의 자연’으로 가득 채워지리라.
변규화님의 맑은 영혼이 시공을 초월하여 영생(永生)할 것이 분명하다.]

지난 2003년 무심코 썼던 필자의 ‘지리산 일기’-그 속의 변규화님과 토담집 이야기.
그것이 마치 그이의 운명을 미리 예고했던 것처럼 생각되기도 한다.
봉명선인은 그 작은 토담집에서 시공을 초월한 영생의 길로 영원히 떠난 것.
하지만 ‘지리산의 자연’으로 그이는 우리들 마음속에 언제까지나 함께 하리라.  
          
  • ?
    주연미 2007.08.09 18:39
    안녕하세요 ~
    저 기억 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근 7년전 다음칼럼에서 '비밀일기'를 썼던 여학생 입니다.
    많이 어리고 형편없던 글귀에 귀기울여주시고 많은 힘을 주셨던..
    기억하세요? ^^
    늘 와서 글만 읽어보고 가다 용기내서 글 남기고 갑니다^^
    항상 늘 마음속으로 감사한 분~
    글 또한 하나하나 멋집니다..
    건강 유념하시고 행복하세요~!

  1. No Image

    '대피소 불친절 삼진 아웃'

    "자연도 쉬어야 합니다.” 지리산 샛길(비법정 탐방로) 입구에 큼지막한 출입금지 안내판이 세워지고 있다. 지리산의 전체 면적은 440평방킬로미터이다. 이 가운데 희귀동물 서식지와 습지 등을 보호하기 위해 탐방로 27개소 199.2평방킬로미터만 개방하고 나...
    Date2007.01.26 By최화수 Reply1 Views2994
    Read More
  2. No Image

    '입장료 폐지'는 좋지만...

    새해부터 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되었다. 누구나 부담없이 국립공원을 드나들 수 있게 된 것은 좋은 일이지만, 거기에 따르는 이런저런 말썽이나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듯하다. 입장료 폐지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를 보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심도있게 논의하...
    Date2007.01.16 By최화수 Reply3 Views2590
    Read More
  3. No Image

    입장료 폐지, 어떻게 바뀔까?

    다사다난했던 2006년 한 해도 저물어간다. 서로 물과 불이 되어 갈등한 상하화택(上火下澤)의 2005년에서 국민의 답답함과 불만이 폭발 직전의 임계점에 이르렀다는 밀운불우(密雲不雨)의 2006년, 그리고 대통령선거를 치러야 하는 2007년은 우리들 세상에 또...
    Date2006.12.28 By최화수 Reply6 Views2946
    Read More
  4. No Image

    계곡길과 민박집과 자동차들

    12월12일, 왕등재 아래 자리한 외곡마을을 찾았다. 15, 16년 전 <지리산 365일>을 쓸 때 여러 차례 찾았던 마을이다. 겹겹의 산자락에 묻혀 있어 고요하고 아늑한, 아주 독특한 공간이기도 하다. 뜸부기를 키우던 농가도 있었다. 외곡마을은 대원사계곡(유평...
    Date2006.12.13 By최화수 Reply4 Views11626
    Read More
  5. No Image

    세이암에서 귀를 씻을 것인가?

    지리산 화개동천에도 가뭄이 극심하다. 물소리가 요란하기로 유명한 삼신동(三神洞)마저 계곡이 허연 바닥을 드러낸 채 단잠에 빠져 있었다. 11월4일, 지리산 역사문화 답사팀 100여명과 함께 삼신동에 잠시 들렀다. 그런데 화개동천이 너무 조용하다. 우르르...
    Date2006.11.18 By최화수 Reply4 Views3170
    Read More
  6. No Image

    대원사 계곡 걸어서 가게 하라

    "금강산 가믄 1만2000봉에 8만여남으개 암자기 있다던디…" 아흔을 넘긴 아버지의 이 말을 들은 막내아들 이군익(42) 씨는 고심 끝에 지게를 생각해냈다. 그는 특별히 만든 지게에 아버지를 태워 귀면암과 구룡폭포 등 금강산 절경들을 두루 오르내렸다. 지난 ...
    Date2006.11.05 By최화수 Reply5 Views3799
    Read More
  7. No Image

    '소문난 자장면 공장'의 꿈

    마천의 ‘소문난 자장면집’! '최화수의 지리산 통신’ 제7~9호에 세 차례 관계 글이 실려 있다. 지리산 마천에서 자장면 집을 열고 있는 한쪽 팔이 없는 장애인 강상길님! 이 사람이 자서전 <나의 프로 인생은 끝나지 않았다>를 펴내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사연을...
    Date2006.10.26 By최화수 Reply4 Views3089
    Read More
  8. No Image

    '남근석(男根石)의 수난'(3)

    남근석(男根石)의 수난 (3) (2000년 6월28일) 몇 해 전 일입니다. 한 단체가 '한국의 산' 강좌를 열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로 전남 영암 월출산을 답사하며 이태호교수(미술사)가 현장강의를 했습니다. 성풍속에 대한 그이의 해박한 지식은 물론, 거침없는 ...
    Date2006.09.29 By최화수 Reply1 Views3456
    Read More
  9. No Image

    '남근석(男根石)의 수난'(2)

    '남근석(男根石)의 수난' (2) (2000년 6월25일) 아침산의 남근석은 마을 동구에 있는 것들과는 달리 드러내지 않고 부끄러운 듯이 숲속에 숨어 있어 좋습니다. 어찌 보면 살며시 가린 나뭇잎이 속옷을 걸치고 있는 듯합니다. 그 때문에 등산객들도 이를 모르...
    Date2006.09.29 By최화수 Reply0 Views2668
    Read More
  10. No Image

    '남근석(男根石)의 수난'(1)

    [오도재의 변강쇠, 옹녀 쌍묘 앞에 두 사람의 나상을 세워놓았든데, 거대한 성기가 눈길을 끕니다. 거기서 멀지 않은 실상사에서 인월 쪽으로 가다보면 도로 옆에 '남근 전시장'이 있어 놀라게 됩니다. 나무로 남근을 조각한 것들이 전시장 밖에도 세워져 있...
    Date2006.09.29 By최화수 Reply0 Views299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