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2859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일폭포의 ‘봉명산방 봉명선인’ 변규화님에 대한 글은 아마도 필자가 가장 많이 썼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이에 대한 이야기는 물론이요, 그이로부터 듣게 된 지리산의 신비한 사연 등도 여기저기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글로 담아냈다.

<지리산 365일> 전 4권의 상당 부분이 그렇고, 대하르포 <지리산 1994>. 빛깔 있는 책 <지리산>도 그러하다. 전후 50년 동안의 지리산 역사를 담은 <지리산 반세기>, 산 에세이집 <나의 지리산 사랑과 고뇌>에도 그이의 얘기가 실려 있다. 나는 그것도 모자라 인터넷에 올리고 있는 <지리산 통신>이나 <지리산 산책> <지리산 일기>에도 그이의 얘기를 싣고는 했다.

변규화님에 관한 얘기, 또는 그이가 들려준 이야기들을 많이 썼다는 것은 내가 그만큼 그이를 많이 만났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또한 그이가 나에게는 숨겨놓고 들려주지 않는 말이 없었다는 뜻도 된다.

하지만 변규화님은 친근하게 지내면서도 필자를 못마땅하게 생각한 부분도 있었다.
그이는 국사암의 사천왕수에 얽힌 사하촌 사람들의 이상한 행위를 들려준 바 있다. 필자가 그 이야기를 <지리산 1994>에 썼는데, 그것에 화를 내더라는 것.

나는 그 이야기를 한 지인으로부터 전해 듣고 봉명산방을 찾아갔다. 하지만 그이는 언제나처럼 반갑게 나를 맞아주었다. 그이는 같은 말을 두 번 다시 하지는 않았다.
그이는 우리 사이에 언제 서운한 일이 있기라도 했느냐는 듯이 필자에게 또다른 귀에 솔깃한 얘기를 들려주었다.

“나는 밤이 되면 홀랑 알몸이 되어 이 산중을 거닙니다. 달빛이 숲에 부서져 내리면 더욱 좋지. 거추장스런 옷가지를 벗어던진 알몸, 완전한 자유, 그것은 자연과의 교감으로 이어지는 길이기도 하지요.”

그이는 글자 그대로 ‘봉명선인(鳳鳴仙人)’이 돼 있었다. “산이 쑥쑥 자라나요”라는 말로 나를 놀라게 했는데, 오두막 앞 산등성이를 덮고 있는 나무가 자라나는 것을 그렇게 보는 것이었다. “이제는 아침마다 독사와 인사를 나누고는 한다”고도 했다.

지리산 사람들은 대체로 두주불사(斗酒不辭)이다. 하지만 변규화님은 술을 거의 입에 대지 않는다. 담배도 피지 않고, 소식(小食)을 한다. 그래서일까, 그이의 모습은 30년을 하루 같이 변함이 없다.
그이는 ‘지성(知性)의 대화’를 나누는 것을 즐겨한다. 유수의 석학들이 그이를 곧잘 찾아오고는 한다.

2003년 2월부터 필자는 ‘지리산 일기’를 인터넷 카페에 썼는데, 그 해 말까지의 56회 분량이 오용민의 ‘지리산 커뮤니티’(www.ofof.net)에 실려 있다. 그 가운데는 ‘오두막 안쪽의 토담집’이라는 글이 두 편 실려 있다. 바로 변규화님 관련 이야기이다.

변규화님은 당시 자신이 기거하고 있는 오두막 ‘봉명산방’ 뒤편에 또 하나의 토담집을 짓고 있었다. 원래 그곳에는 큰 바위가 있었는데, 그이 혼자서 기계장비를 쓰지 않고 집채 같은 그 바위를 옮겨내는 초능력을 발휘했다.
“초능력이 아니라 ‘머리’지요. 머리를 쓰면 안 되는 일이 없거던!”

필자는 이 ‘지리산 일기’에서 그이가 왜 또 오두막 뒤의 토담집을 짓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었다. 기존 오두막도 그이 혼자 살기에는 넓은 공간이 남아돌고, 더구나 산 아래 목압마을에는 그이가 손수 지은 토담 오두막이 또 한 채 있기 때문이었다.

“저 토담집에는 어떤 가구도 집기도 들여놓지 않을 거요. 오직 나 한 몸 명상도 하고 시간도 보내고…”
그이의 말을 듣고 나는 ‘지리산 일기’에 다음과 같이 썼다.

[봉명산방 뒤의 새 토담집은 변규화님의 마지막 토굴이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그이만의 순수 자연세계, 변규화님의 지리산 생활을 결산하고 마무리하는 공간이 되는 셈이다.
황토 토담과 자연의 숲, 공기와 물, 그이의 맑은 영혼이 서로 어울려 노니는 공간, 아, 얼마나 맑고 깨끗하고 신성한 곳인가!
시공을 초월하여 현세와 내세를 넘나드는 문(門)과 같은 곳이 아닐까!

봉명선인 자신의 손으로 한 뼘 한 뼘 흙을 쌓아 만든 토담집.
구조라면 황토방 하나에 덧문이 달린 것이 전부이다. 방안에는 아무런 가구나 집기도 들여놓지 않는다.
하지만 이 작은 흙방에는 ‘지리산의 자연’으로 가득 채워지리라.
변규화님의 맑은 영혼이 시공을 초월하여 영생(永生)할 것이 분명하다.]

지난 2003년 무심코 썼던 필자의 ‘지리산 일기’-그 속의 변규화님과 토담집 이야기.
그것이 마치 그이의 운명을 미리 예고했던 것처럼 생각되기도 한다.
봉명선인은 그 작은 토담집에서 시공을 초월한 영생의 길로 영원히 떠난 것.
하지만 ‘지리산의 자연’으로 그이는 우리들 마음속에 언제까지나 함께 하리라.  
          
  • ?
    주연미 2007.08.09 18:39
    안녕하세요 ~
    저 기억 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근 7년전 다음칼럼에서 '비밀일기'를 썼던 여학생 입니다.
    많이 어리고 형편없던 글귀에 귀기울여주시고 많은 힘을 주셨던..
    기억하세요? ^^
    늘 와서 글만 읽어보고 가다 용기내서 글 남기고 갑니다^^
    항상 늘 마음속으로 감사한 분~
    글 또한 하나하나 멋집니다..
    건강 유념하시고 행복하세요~!

  1. No Image

    [납량 3] 낮에 나온 '반달'(?)

    [납량 3] 낮에 나온 '반달'(?) 2002년 07월 24일 귀신은 누가 쫓아내는가? 닭이다. 닭이 우는 소리가 들리면 부리나케 꽁무니를 감춘다.온갖 귀신 얘기들도 닭울음 소리와 함께 끝이 나는 것이다. 닭이 울면 새벽이 온다. 날이 밝아지면 귀신은 설 자리를 잃...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0 Views1807
    Read More
  2. No Image

    [납량 2] 한밤의 검은 사자들

    [납량 2] 한밤의 검은 사자들 2002년 07월 22일 연하천산장에서의 꿈 이야기는 참으로 야릇한 것이었다. 이광전 님은 산장 청년과 장 총각이 마치 서로 짜고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두 청년의 너무나 진지한 모습에서 뭐라고 한 마디 참견...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0 Views1706
    Read More
  3. No Image

    [납량 1] 꽃을 든 소복의 여인

    정말 무더운 날씨입니다. 지리산이라면 아주 시원하겠지만요...사정상 어쩔 수 없이 지리산과 떨어져 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더위를 잊는데 도움이 될까 하여 '믿거나 말거나' 납량 이야기 몇 편을 올립니다. 2002년 '다음 칼럼'에 썼던 것을 재록합니다. ...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0 Views2154
    Read More
  4. No Image

    내 마음의 수채화 바래봉(재록)

    [요즘 여러 가지 일로 시간에 쫓겨 이곳에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2년 6월1일자 '다음 칼럼' <최화수의 지리산통신>에 올렸던 글을 대신 싣습니다. 해량 바랍니다.-최화수] ....................................................................
    Date2007.08.13 By최화수 Reply1 Views1878
    Read More
  5. No Image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3)

    불일폭포의 ‘봉명산방 봉명선인’ 변규화님에 대한 글은 아마도 필자가 가장 많이 썼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이에 대한 이야기는 물론이요, 그이로부터 듣게 된 지리산의 신비한 사연 등도 여기저기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글로 담아냈다. <지리산 365일> 전 4권...
    Date2007.07.12 By최화수 Reply1 Views2859
    Read More
  6. No Image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2)

    [다음 글은 변규화님의 타계를 안타까워하면서, 국제신문 6월26일자 '최화수의 세상읽기'에 올린 글입니다.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최화수] 지리산의 빈 자리 지리산의 큰 등불 하나가 꺼졌다. 불일폭포 불일평전 오...
    Date2007.06.27 By최화수 Reply5 Views2991
    Read More
  7. No Image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1)

    ‘나는 / 세상을 向해서는 / 도무지 / 아무런 재주도 재능도 없고 / 게으르다 / 그러면서 / 또 /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 다만 내일이 오늘이 / 된다는 것과 / 오늘 이 순간까지 /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고 있다는 / 고마움 / 그것이 / 큰 행복감으로 ...
    Date2007.06.14 By최화수 Reply4 Views3079
    Read More
  8. No Image

    '신화시대' 이제 막 내리나?(3)

    1947년 1월 겨울 노고단(老姑壇). 1945년 설립된 한국산악회와 1946년 출범한 한국스키협회가 손을 잡고 해방 이후 최초의 겨울산행 겸 스키대회를 열었으니, 그 의미와 기쁨이 얼마나 컸겠는가. 제국주의 일본의 강점으로부터 되찾은 우리의 조국, 우리의 산...
    Date2007.04.25 By최화수 Reply5 Views3254
    Read More
  9. No Image

    '신화시대' 이제 막 내리나?(2)

    지리산의 본격적인 등산시대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시작됐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일제시대에는 일본 사람들이 천왕봉을 꽤 많이 찾았다고 한다. 지리산에는 큐슈대학과 교토대학이 연습림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었던 만큼 그들의 천왕봉 등정을 짐작...
    Date2007.03.06 By최화수 Reply3 Views2930
    Read More
  10. No Image

    '신화시대' 이제 막 내리나?(1)

    영생불변(永生不變), 불사영생(不死永生)이 가능할 수 있을까? 하물며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는데…. 상전(桑田)이 벽해(碧海)가 된다. 뽕나무밭을 푸른 바다로 바꿔놓는다. 세월은 그냥 흘러가지 않는다. 능곡지변(陵谷之變), 언덕과 골짜기를 서로 바...
    Date2007.02.15 By최화수 Reply6 Views32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