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97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납량 4] 목기막의 불청객들
                                      2002년 07월 28일  

지리산 골짜기 속의 골짜기로 '절터골'이 있다. 남부군 사령관이었던 이현상(李鉉相)이 미스터리의 죽음을 맞이했던 '빗점골 합수내 흐른바위'가 이 절터골의 시작이다.
의신마을에서 벽소령을 넘어가는 군사작전도로를 따라 삼정마을을 지나고, 다시 지금은 사라진 빗점마을을 지나, 도로가 오른쪽으로 크게 꺾어지는 곳에서 절터골, 산태골, 왼골의 이른바 화개천 상류 세 골짜기로 들어가는 진입로가 나 있다.
요즘은 '남부군 최후의 아지트' 등 '우스운 시설물'(?)들이 있어 찾아들기가 쉽다.

하지만 이 길은 관청에서 소위 '빨치산 시설물'을 설치해놓기 전에 의신마을 주민들이 고로쇠수액 채취를 하느라 뻔질나게 드나들어 그 진입로는 물론, 계곡길과 능선길이 빤질빤질하게 나 있다.
지리산의 고로쇠수액 채취를 위해 파이프라인을 거미줄처럼 쳐놓은 것에서 그 삶의 치열함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곳의 고로쇠수액이 유명해진 것은 지난 1980년대 이후부터이며, 그 이전에는 산나물 또는 수석을 채취하거나, 목기(木器) 등을 다듬고자 산밑 주민들이 이곳을 자주 드나들었던 것이다.

산태골, 절터골, 또 그 사이의 능선을 따라서 명선봉으로 오르는 길은 요즘 등산객들도 찾고 있지만, 불과 몇 해 전까지는 주민들만 다녔을 뿐이다.
1994년 필자는 <사람과 산> 심병우기자와 함께 처음으로 절터골을 따라 연하천산장에 닿은 뒤 총각샘에서 산태골을 따라 내려왔었다. '최화수의 지리산 어쩌구...' 하는 특집기사를 만들기 위해 이 골짜기를 찾게 됐는데, 부산의 이광전, 여승익 님과 의신마을 조봉문, 정근수 두 청년이 동행을 했다. 의신마을의 청년들은 길 안내를 위해 동행한 것이다.

절터골은 깊이 거슬러 오를수록 깊고 고요한 적막의 두께가 지리산의 무게처럼 느껴졌다. 그런데 그 깊은 골짜기에 지난날 집터였을 법한 제법 편편한 공간이 있었다.
"이곳이 목기막(木器幕)'이 있던 자리요. 울 아버지, 근수 아버지가 여기서 목기를 깎았다니께요."
조봉문이 나에게 아주 의미심장한 표정으로 말하는 것이었다.
"이 높은 곳에서 무슨 목기를?"
"밥주걱이나 제기 등 돈 되는 것은 뭐든 깎았지요. 한번 올라오면 며칠씩 이곳 움막에 묵으면서 그 일을 했는데, 어따, 밤이면 밤마다...!"

"...밤이면 밤마다!?"
밤마다 무엇을 어찌 했다는 것일까? 조봉문은 필자가 호기심을 보이자 앞서 가는 정근수를 불러세웠다.
"근수야, 니가 말해보거라!"
"뭘?"
"니네 아버지 주술(呪術) 외웠던 얘기 말이다."
"울 아버지만 했냐? 니네 아버지는 하지 않은 것처럼 말하네!"
두 사람이 주고받는 말투가 아주 퉁명스러웠다. 두 청년의 아버지는 불과 10수년 전까지 이곳의 움막에 기거하면서 함께 일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들은 밤이면 밤마다 정말 정신없이 주술을 외워야만 했다. 왜 그랬을까?

"비가 창대같이 마구 쏟아지는 밤이었다우. 날도 캄캄해진 깊은 밤중이기도 해서 두 분은 움막에 자리를 펴고 잠을 청했다는디... 움막 앞에 비를 흠뻑 맞은 남루한 차림의 거한들이 불쑥 나타나 '배가 고프니 먹을 것을 달라'고 애걸하더라구먼요.
울 아버지는 빨치산을 익히 보와왔기 때문에 그들이 빨치신 귀신이란 것을 단번에 알아냈지요. 움막 문고리를 잡고 죽으라고 주술을 외는 겁니다.
'밥 달라'는 소리와 주술이 뒤엉켜 씨름을 벌인 거요. 결국 '지독한 놈들' 하며 귀신들이 겨우 물러가더라네요."

목기막의 빨치산 귀신 소동, 그것이 밤마다 되풀이 됐고, 밤마다 주술로써 귀신을 물리쳤다!? 도무지 믿어지지가 않는 이야기였다.
필자가 대꾸 대신 피식 웃어넘기자 조봉문이 정색을 하고 이렇게 말했다.
"지리산에서 가장 무서운 곳이 이 절터골이라구요. 비가 내릴 때는 대낮에도 귀신소리가 요란해서 우리도 감히 이곳에는 들어오지 못 한다구. 귀신소리...그렇당께요, 온갖 절규 소리가 귀가 멍멍할 만큼 요란하여 너무너무 겁이 난다구요. 근수야, 내 말이 맞는지 아닌지, 니가 한번 말해봐라!"

조봉문은 같은 마을의 친구인 정근수에게 동의를 구했다.
"그런 소리가 들리는 것은 사실이야!"
정근수는 일단 동의는 했지만, 그러나 뜻밖의 주장을 했다.
"귀신은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 비가 내릴 때 주능선상의 등산객 소리가 공명을 일으켜 이 골짜기에서 와글와글 시끄럽게 들리는 것이라구... 우하하하!"
의신마을 두 청년은 "귀신 소리가 맞다" "아니다" 하고 한동안 입씨름을 벌였다.
누구의 말이 맞을까? 그것이 궁금하면 비오는 날에 혼자 절터골로 찾아가보면 알 수 있을 것이리라...!

  • ?
    김용규 2007.08.18 12:48
    지리산 깊숙히 길이 뚫어지고 구석진 곳까지 등산객들의 발길이 넘쳐나는 요즘과는 달리 60년대에는 지리산 아래의 사람들만 산엘 들락거릴때의 지리산은 묘령의 산으로 여겼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죽었고 과학의 개념이 적었던 당시에 지리산은 귀신의 산으로 저는 여겼었습니다. 지금도 깊은 산엘 잘 가지 못하는 공포가 있습니다. 소를 먹이러 가다가 내려올때에 맨 뒤에서 내려오는 사람은 머리카락이 항상 쭈뼛해짐을 느꼈는데 지리산 아래의 사람들은 아직도 귀신에 대한 두려움이 많을 것입니다. 귀신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는 잘 모르지만요. 하하

  1. No Image

    최상의 기호품 덕산 곶감(1)

    "시천 마천 큰애기 곶감깎기로 다 나간다"는 지리산 민요의 그 시천(矢川)과 마천(馬川)은 일찍부터 곶감으로 유명하다. 지리산 농가들이 늦가을부터 곶감을 주렁주렁 매달아놓은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특히 함양군 마천면과 산청군 시천면 일대는 집집마...
    Date2007.10.22 By최화수 Reply2 Views1924
    Read More
  2. No Image

    '정순덕 마을' 정씨 할머니

    정순덕이 태어나고 13년 동안 빨치산 활동을 하다 총을 맞고 사로잡힌 안내원 부락. 수십년 동안 귀틀집들이 죽은 듯이 자리했는데, 지금은 고래등처럼 큰 양옥이 들어서 있다. 지리산 어느 마을이든 건축허가를 받고 새 건물이 들어서는 것을 탓할 수 없다. ...
    Date2007.10.12 By최화수 Reply5 Views1810
    Read More
  3. No Image

    '정순덕 고향' 안내원마을

    내원사 앞에서 장당골과 내원골의 두 계곡물이 합쳐진다. 사찰 바른쪽이 장당골이고, 왼편이 내원골이다. 장당골은 아주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길게 이어지지만, 내원골은 이른바 '황금능선'을 향해 가파르게 치닫는다. 내원골에도 광산 개발을 위한 산판도로...
    Date2007.10.03 By최화수 Reply3 Views1988
    Read More
  4. No Image

    섬진강 기적-오영희 출판회

    다음은 지난 2002년 10월21일자 Daum 칼럼 '최화수의 지리산 통신'에 올렸던 글입니다. 섬호정님의 <섬진강 소견> 출판기념회가 섬진강변 두레네집에서 열렸었지요. 섬호정 선생님과 여러분에게 그리운 마음을 전하면서 추석 인사를 대신하여 그 때의 글을 다...
    Date2007.09.23 By최화수 Reply7 Views1765
    Read More
  5. No Image

    석주관 어찌 그냥 지나치랴!

    왕시루봉 능선이 흘러내린 그 지맥이 섬진강 청류에 잠겨들며 잠시 휴식하는 곳! 강 건너 백운산 자락의 무성한 숲이 쏟아져 내릴 듯하니, 섬진강 하류에서 거슬러 오르다보면 최고의 협곡을 이루는 곳이다. 섬진강 양안을 줄나룻배라도 오고갈 듯 하지만, 그...
    Date2007.09.07 By최화수 Reply2 Views1526
    Read More
  6. No Image

    연곡사의 부도와 순절비(2)

    연곡사의 부도와 순절비를 뒤늦게 찾아본 필자는 부끄러움에 얼굴이 달아올랐다. 이 사찰을 드나들거나 지나친 것이 도대체 몇 번이었던가. 하지만 필자는 ×눈에 ×만 보인다는 속담처럼 엉뚱한 것에만 시선을 주었을 뿐이었다. 연곡사는 필자에게 지리산을 어...
    Date2007.08.29 By최화수 Reply4 Views1956
    Read More
  7. No Image

    연곡사의 부도와 순절비(1)

    ['다음 칼럼' 재록입니다] 필자의 대학 선배 박아무개님은 학교에 나오는 것보다 전국을 떠도는 날이 많았고, 등교를 해도 강의실보다 술집에 있을 때가 더 많은 특이한 인물이었다. 그이는 필자가 결혼한다는 말을 듣고는 나타나 부조할 돈이 없다며 그 대신 ...
    Date2007.08.27 By최화수 Reply0 Views1637
    Read More
  8. No Image

    [납량 6] 종녀촌의 '성축제'

    [납량 6] 종녀촌의 '성(性)축제' 2002년 08월 02일 오래 전에 '전설따라 삼천리'란 라디오 방송 프로가 있었다. 용이 못 된 이무기며, 사람으로 변신한 백여우, 뱀과 까치의 싸움하며 으시시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 '전설따라...'보다 더 뇌리에 깊이 ...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1 Views2102
    Read More
  9. No Image

    [납량 5] 곤두선 머리카락...

    [납량 5] 곤두선 머리카락... 2002년 07월 31일 꼭 10년 전 가을철이었다. 부산의 산악인 이광전 님은 내원골로 올라 이른바 '황금능선'을 따라 단독산행을 했다. 지독한 산죽과 잡목을 헤치고 써래봉으로 오르는 능선으로 올라서느라 땀을 한 바탕 흘린 그이...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1 Views1746
    Read More
  10. No Image

    [납량 4] 목기막의 불청객들

    [납량 4] 목기막의 불청객들 2002년 07월 28일 지리산 골짜기 속의 골짜기로 '절터골'이 있다. 남부군 사령관이었던 이현상(李鉉相)이 미스터리의 죽음을 맞이했던 '빗점골 합수내 흐른바위'가 이 절터골의 시작이다. 의신마을에서 벽소령을 넘어가는 군사작...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1 Views19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