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47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일평전 오두막에는 '봉명산방(鳳鳴山房)'이란 휘호가 걸려 있다. 소설가 정비석 선생이 이곳을 찾아 붙여준 이름이다. 고려말 학자 이첨이 지리산을 찾아와 지은 시에 '산 중의 산'이라 하여 '봉황명(鳳凰鳴)'이라 쓴 구절이 있다. 거기서 따와 '깨달음의 완성'이란 뜻으로 '봉명산방'이란 이름을 지었다. 불일암, 불일폭포, 불일평전의 '불일(佛日)은 보조국사가 이곳에서 수도정진, 깨달음을 얻은 것을 기려 국왕이 '불일(佛日)'이란 시호를 내린 데서 유래한다.

이곳 야영장을 돌본 '돌쇠'님은 아주 '봉명공화국'으로 부르기도 한다. 봉명공화국의 왕궁은 오두막집이다. 억새 이엉에다 벽 전체가 나무로 된 나무집이다. 자세히 보면 흙벽에다 디딤나무를 붙인 다음 그 위에 한 자 길이의 짤막하고 가느다란 나무를 촘촘하게 붙여 놓았다. 뜰에는 우리나라 지도 모양의 연못인 '반도지(半島池)', 돌을 쌓아올린 석탑군의 '소망탑(素望塔)'이 있다. 아기자기한 돌탁자와 나무의자 등이 봉명공화국다운 모습이다.

불일평전을 이처럼 소박하고 아름답게 가꾸면서 신선처럼 살고 있는 봉명산방 방주는 변규화(본명 변성배)님이다. 덥수룩하게 기른 수염이 트레이드 마크인 그는 지리산의 이름난 털보들 가운데 한 명이다. 그가 이 오두막에 정착한 것은 지난 78년 10월1일이다. 어언 23년의 오랜 세월을 하루같이 변함없이 살고 있다. 그는 이 오두막에 정착하기 앞서 불일폭포 위쪽의 상불(上佛)에서 10년 가까이 토굴생활을 했다. 그러니까 그의 실제 산중생활은 30년이 넘는다.

변규화님은 경남 거창 출신으로 정상적인 학교 생활과 사회 진출의 과정을 밟았다.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그는 공군에 입대하여 36개월을 복무하고 만기제대했다. 그리고 일반기업체에 입사, 평범한 샐러리맨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지난 60년대 초 미모의 규수와 결혼, 남부럽지 않은 '서울 생활'을 누렸다. 그의 부인은 대단한 미인이자 이름난 인텔리 여성으로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했고, 사랑스러운 아들도 한 명 두었었다.

그런 그가 어째서 서울 생활을 뿌리치고 지리산중으로 뛰어들었을까? 이 의문에 대해 그는 뜻밖의 이유를 들려준다. "이상한 일이었다. 내가 다니는 직장은 되는 일이 없었다. 회사 자체가 얼마 못가 파산하고는 했다. 나 스스로를 깊이 되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가끔 찾아왔던 불일암(불일폭포 위의 작은 암자)에 공부를 하러 오게 됐고, 상불에서 토굴생활(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도정진)을 했다. 그러다 이 오두막에 인연이 닿아 아주 머물게 됐다."

그는 지리산에서 '공부'하는 동안 지리산이 너무 좋아졌고, 자신의 삶터가 곧 지리산이라는 하나의 깨달음을 얻었다. 그가 토굴에서 10년을 '공부'하여 깨친 것이 지리산의 자연 속에서 자연처럼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는 청담 스님 등 이름난 고승 아래서 공부를 하느라 스님 생활도 3년 동안 했다. 하지만 그는 종교가 아닌, 지리산의 자연세계로 귀의했고, 불일평전 '봉명산방'에서 영원한 자연인으로 살게 된 것이다.

"사회에서 조직생활을 하는 데는 인간의 본성에 맞춰 살아가기가 어려운 법이다. 사회생활을 통해서 명예나 풍족한 생활을 누릴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명예나 돈을 떠나면 인간은 자연처럼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나는 명예보다 자유를 택했고, 물질적인 풍족보다는 자연세계의 정신을 선택했을 뿐이다." 사실 신선세계가 별 것이겠는가. 깨끗한 물, 맑은 공기, 아름다운 숲과 더불어 마음을 비우고 살면 그것이 곧 무릉도원이자 신선세계일 것이다.

불일평전 오두막에는 한번씩 그의 서울 부인이 다녀가고는 했다. 그녀의 뛰어난 미모와 세련된 서울말씨가 산꾼들 사이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인박명이라고 했던가. 서울 생활을 계속하던 그의 부인은 지난 86년 먼저 저 세상으로 떠나고 말았다. 아들 변성호는 어머니를 잃은 충격을 안고 불일평전 아버지에게 왔다. 그는 이곳에서 청년으로 성장, 원광대를 졸업한 광주의 규수와 결혼했다. 그 아들 부부는 봉명산방 별채에서 살며 불일평전의 대를 잇겠다고 했었다.

하지만 불일평전 2세는 서울로 떠나갔고, 지금은 변규화님 홀로 살고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는 결코 혼자가 아니다. 지리산의 자연세계가 언제나 그와 함께 있다. 지난 주말 찾아간 필자 일행에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여기 있어보니까 산이 불쑥불쑥 자라나!" "예?" "저기 봐요. 나무들이 저렇게 자라니까 산이 자라는 것이나 같지!" "...!" 우리 일행은 과연 변규화님다운 말이라며 감탄했다. 그렇다. 그는 지리산과 말동무하기에도 너무나 바빠 이 산을 결코 떠나지 못하고 있다.

*<부기(附記)>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제3권에는 변규화님의 아들인 변성호와 광주의 규수 김덕선이 불일평전에서 인연을 맺기까지의 숨은 얘기를 담은 '불일평전 러브 스토리'가 실려 있다. 변성호는 지난해 서울 국악예술학교 행정직원으로 다시 서울 생활을 시작했고, 김덕선은 지난 달 같은 학교 기숙사 사감으로 일하고 있다. 변규화님과 각별한 사이인 국악인 박범훈교수가 변성호의 장녀를 수양손녀로 삼고 있다.
(2001년 3월28일)






  1. No Image 26Feb
    by 최화수
    2004/02/26 by 최화수
    Views 1075 

    '봉명산방' 변규화님(2) 0

  2. No Image 26Feb
    by 최화수
    2004/02/26 by 최화수
    Views 1478 

    '봉명산방' 변규화님(1) 0

  3. '아야아야 부인'의 기적 1

  4. '천하의 명당' 원통암(2) 1

  5. No Image 24Feb
    by 최화수
    2004/02/24 by 최화수
    Views 1486 

    '천하의 명당' 원통암(1) 0

  6. No Image 24Feb
    by 최화수
    2004/02/24 by 최화수
    Views 1380 

    '봉명선인'이 태어나다 0

  7. No Image 24Feb
    by 최화수
    2004/02/24 by 최화수
    Views 1500 

    '지리산 자연인'의 상벌 0

  8. No Image 24Feb
    by 최화수
    2004/02/24 by 최화수
    Views 2129 

    아름다운 집 '쌍계별장' 0

  9. No Image 15Feb
    by 최화수
    2004/02/15 by 최화수
    Views 1346 

    누가 구도의 길을 막나? 0

  10. 오두막 '나무 달마 살래' 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