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07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일평전에서 30년 산중생활을 이어오고 있는 변규화님의 진면목은 무엇일까? 꽤 오랜 세월이 흘러도 20여년 전 처음 만났을 때와 조금도 그 모습이 변하지 않는데 있다. 그것이 아무리 생각해도 신통하기만 하다. 신선의 경지에 이른 것이 아니라면 설명이 될 수 없는 일이다. 변규화님은 필자와 단 둘이 대화를 할 때는 신비한 얘기도 곧잘 들려준다. 자신의 일상사에 대한 진솔한 얘기들을 거리낌없이 들려준다.

그가 들려준 많은 얘기들 가운데는 자연에 귀의하는 독특한(?) 방법도 있다. 달밤에 옷을 홀랑 벗고 달빛과 함께 뜨락을 거닐며 자연에 동화된다는 것이었다. "혼자 있을 때가 좋아요. 홀로 휘영청 쏟아지는 달빛에 실컷 취하는 것이지요. 아무도 없으니 무슨 거리낌이 있기나 하겠소. 나는 홀랑 벗고 이 뜨락을 거닙니다. 자연과의 완전한 합일을 이루는 것이지요. 그 완벽한 자유가 나에게는 소중한 보물이나 같지요."

30년 산중생활의 경지를 속세의 속물이 어찌 짐작이라도 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불일평전에서의 이런 삽화만으로도 그이의 낙시유거(樂是幽居), 곧 그윽하고 궁벽한 곳에 사는 즐거움을 짐작할 수 있다. 어쩌면 그이는 매처학자(梅妻鶴子), 곧 매화를 아내로 삼고 학을 자식으로 삼아 지내는 선비와도 같다. 그이의 천진한 웃음에서 상마지교(桑麻之交), 곧 뽕나무와 삼나무를 벗삼아 지내는 경지를 보는 듯하다.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1487년 지리산을 찾았던 남효온(南孝溫)은 기행록 '지리산일과'에 특이한 한 스님의 얘기를 썼다. 산길 40리를 걸어 어렵게 도착한, 감나무 대나무에 둘러싸인 보암(普庵)의 주지승 도순(道淳)이 그 주인공이다. '도순은 문자를 배우지 않고 도를 닦아 불법을 깨쳤다는데, 그는 "나밖에 아무도 없다"고 스스로 말하며, 불경을 외거나 염불하는 것을 그만두고 늘 음경(陰莖)을 내놓고 생활했다.'

지리산에는 많은 승려들이 수도정진하여 도를 깨쳤다. 서산대사와 벽송대사 진각선사 등 그 이름을 일일이 열거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지리산에서 생활한 스님 가운데 아주 특이한 인물이 있다. 무기(無己)라는 이름의 이 스님 행적을 보면 참으로 완벽한 자유인이다. 집도 절도 없었지만, "어떤 자가 집을 세웠건 내가 들랑거리기에 거리낌이 없노라"고 큰소리쳤다.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 그 기록이 있다.

'중 무기(無己)는 호를 스스로 지어 대혼자(大昏子)라 하였다. 그는 지리산에 은신하여 30년을 살면서 장삼 하나를 벗지 않았다. 해마다 겨울과 여름이면 산(절)에서 나오지 않고 뱃가죽을 띠로 졸라맸다. 봄과 가을에는 배를 두드리며 산을 유람했는데, 하루에 서너 말의 밥을 먹어치웠다. 한 자리에 앉으면 열흘이 넘고, 일어나서 갈 때는 선시(禪詩)를 소리 높여 불렀다. 한 절에 유숙할 때마다 선시 한수씩을 남겼다.'

중 무기가 남긴 선시 가운데 그의 면모를 능히 짐작케 하는 '무주암' 시가 전해온다. '이즈음 본래 머물 데가 없었는데 / 그 누구가 이 집을 세웠네 / 지금은 오직 무기(無己)가 있어서 / 가기도 머물기도 거리낌이 없어라.' 이 무기란 인물은 누구였을까? '지리산 박사' 김경렬옹은 진각(眞覺)선사가 아니었을까고 추측했다. 진각은 보조국사가 자신의 자리를 물려주려 하자 사양하고 지리산에 들어와 꽁꽁 숨어버렸다.

진각선사 혜심(慧諶)은 스승 보조국사 지눌(知訥)과 같이 지리산에 들어와 삼정봉 무주암에서 오랫동안 머물었다. 오늘의 송광사 전신인 수선사의 제1 세조사가 지눌이고, 제2 세조사가 진각이었다. 보조국사는 상무주에서 '선은 고요한데도 있지 않고, 시끄러운 곳에도 있지 아니하며, 해와 달이 고른 곳에도 있지 않고, 생각을 깊이 갖고 분별을 하는 곳에도 있지 않다'는 글을 읽는 동안 깨우침을 얻었다고 한다.

지리산에 숨어든 진각은 '산중길'이란 이런 선시를 남겼다. '산길은 끝도 없으나 / 맑은 바람 걸음마다 일어나고 / 천봉 만봉을 두루 밟고 다니는데 / 상수리 나무만 이리저리 얽혀 있네 / 시내에서 발을 씻고 / 산을 보면서 눈을 밝히네 / 부질없는 영욕 꿈꾸지 않으니 / 이밖에 다시 무엇을 구하랴.' 그렇다. 맑은 바람 걸음마다 일어난다면 홀로 지리산을 아무리 걸어간들 어찌 피로하거나 외롭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2002년 1월1일)

  1. No Image

    '봉명산방' 변규화님(2)

    불일평전에서 30년 산중생활을 이어오고 있는 변규화님의 진면목은 무엇일까? 꽤 오랜 세월이 흘러도 20여년 전 처음 만났을 때와 조금도 그 모습이 변하지 않는데 있다. 그것이 아무리 생각해도 신통하기만 하다. 신선의 경지에 이른 것이 아니라면 설명이 ...
    Date2004.02.26 By최화수 Reply0 Views1075
    Read More
  2. No Image

    '봉명산방' 변규화님(1)

    불일평전 오두막에는 '봉명산방(鳳鳴山房)'이란 휘호가 걸려 있다. 소설가 정비석 선생이 이곳을 찾아 붙여준 이름이다. 고려말 학자 이첨이 지리산을 찾아와 지은 시에 '산 중의 산'이라 하여 '봉황명(鳳凰鳴)'이라 쓴 구절이 있다. 거기서 따와 '깨달음의 ...
    Date2004.02.26 By최화수 Reply0 Views1478
    Read More
  3. No Image

    '아야아야 부인'의 기적

    지난 1990년에 펴낸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2권에는 '89 종주산행 챔피언'이란 제목의 글이 실려 있다. 1989년 한 해에 지리산 종주를 12번이나 해낸 이광전 동아대 교직원산악회 고문의 얘기이다. 그는 2001년 설 연휴에 113번째 지리산 종주산행에 나선...
    Date2004.02.26 By최화수 Reply1 Views1178
    Read More
  4. No Image

    '천하의 명당' 원통암(2)

    의신마을에서 바로 올려다보이는 고개는 명선봉 선비샘으로 곧장 오르는 길이다. 이 마을 '솟대'에서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마을끝까지 올라 바른쪽으로 약간 돌아 만나는 골짜기가 우남골이다. 우남골 입구에서 다시 오른쪽으로 활처럼 휘어진 농로를 따라 ...
    Date2004.02.24 By최화수 Reply1 Views1177
    Read More
  5. No Image

    '천하의 명당' 원통암(1)

    지난 80년대 후반 필자는 화개동천 일대를 샅샅이 뒤지고 다니다시피 했다. 얼핏보면 짙은 수목에 뒤덮여 있을 뿐인 골짜기, 하지만 발을 들여놓으면 들여놓을수록 불가사의한 일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의신마을 뒤편 골짜기 깊숙이 자리잡...
    Date2004.02.24 By최화수 Reply0 Views1486
    Read More
  6. No Image

    '봉명선인'이 태어나다

    불일평전 변규화님의 오두막 앞에는 억새 지붕을 이고 있는 휴게실이 있다. 나무탁자와 의자들이 덤성덤성 놓여 있어 불일폭포를 찾는 탐승객들이 이곳에 앉아 음료를 들거나 식사를 한다. 종래에는 이 휴게소 벽면에 불일폭포 사진이나 변규화님과 관련한 신...
    Date2004.02.24 By최화수 Reply0 Views1379
    Read More
  7. No Image

    '지리산 자연인'의 상벌

    지난 여름 피아골산장 관리인 함태식은 한 여성 산악인에게 아주 특별한 선물을 했다. '피아골산장 평생 이용권'(?)이 그것이다. 함태식이 피아골산장 평생 이용권을 산악인에게 제공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여성 산악인의 무엇이 그로 하여금 그런 특혜를...
    Date2004.02.24 By최화수 Reply0 Views1500
    Read More
  8. No Image

    아름다운 집 '쌍계별장'

    '쌍계사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쌍계별장이다. 쌍계사 경내에 위치한 이 별장은 누구에게나 고향집 같은 포근함을 느끼게 해준다. 쌍계사를 다녀왔으면서도 쌍계별장을 보지 못했다면 그는 보물 한 가지를 놓친 셈이다. 쌍계별장을 한번 찾은 사람은 ...
    Date2004.02.24 By최화수 Reply0 Views2129
    Read More
  9. No Image

    누가 구도의 길을 막나?

    '산에 가는 것은 / 밥먹는 것과 같아야 하고 / 잠자는 것과 닮아야 한다. / 번개치는 날도 / 천둥우는 날도 / 산타는 일이 / 처갓집 가듯 / 당당해야 한다.' 성락건님의 시 '산에 가는 이유'의 일부분이다. '산에 가는 것이 밥먹는 것과 같아야 하고, 잠자는 ...
    Date2004.02.15 By최화수 Reply0 Views1346
    Read More
  10. No Image

    오두막 '나무 달마 살래'

    성락건님의 집 앞에서 사방을 둘러보니 온통 푸른 숲이다. 동쪽의 고운동, 서쪽의 청학동, 남쪽의 악양벌, 북쪽의 거림골을 지리산 지맥들이 가로막고 있다. 그 능선의 푸른 숲들이 해거름의 서늘한 바람에 실려 마치 눈앞으로 쏟아져내리는 듯한 느낌이다. ...
    Date2004.02.15 By최화수 Reply3 Views138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