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563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령의 마애조각상을 찾은 김경렬님은 그 얼굴에 인고와 통한의 비장감이 담겨 있는 것을 지켜보며 "우리의 자화상(自畵像) 그대로다!"고 감탄했다.
"마애조각상이 풍기는 뉘앙스는 어쩌면 혹독한 일제식민지 시대에 태어나서 온갖 핍박과 수모를 견디고, 8.15 이후의 혼란기를 겪고, 6.25 전쟁을 슬프게 치르고, 독재자들의 횡포에 늘 밟히고 한, 우리 현대사를 자신의 얼굴에 새기고 고달프게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얼굴로 보이는 것이었다."
그이는 장군상과 작은  불상들을 구분하여 보았던 것이다.

정령의 불상을 정장군, 또는 황장군의 장군상으로 보고, 그 얼굴은 인고와 통한의 비장감이 서린 우리의 자화상과 같다고 생각한 것은 어째서일까?
김경렬님은 달궁의 '마한 피란도성'에 집착해 있었고, 그 때문에 정령의 역사 기록의 편린들에 영향을 받고 있었던 듯하다.
정령에는 정유재란 때까지 정령성(鄭嶺城)이 남아있었다. 정유재란 때 구례에 이어 남원성이 함락되자 남원과 운봉 사람들은 정령성으로 피란했다. 조선 선조 30년(1597년) 음력 8월16일 남원성 함락 하루 앞날 정령성 상황은 어땠을까?

'...외로운 성을 바라보니 적병이 달무리처럼 에워싸고 있어 위급하다. 포성은 천지를 진동하고, 밤의 불빛이 낮같이 밝았다. 우리들은 가족 수백명과 함께 바위를 붙잡고 아래로 내려가 밤을 황령암에서 지냈다.'
조경남(趙慶男)이 '난중잡록(亂中雜錄)'에 기록한 글이다. 그의 음력 9월6일 기록을 보자.
'...왕래하는 왜적이 끊이지 아니하고,  산골짜기를 날마다 수색하게 되어 길이 꽉 막혀버렸다. 식량이 바닥났으니 어쩔 수 없이 은신암으로 되돌아왔다. 하루를 지나고 나니 왜병의 형세가 약간 줄어들어 있었다.'

조경남의 '난중잡록'은 지리산 사람들이 정령성으로 피란가던 얘기며, 다시 지리산속 암자들을 전전하는 과정의 눈물겨운 얘기들을 쓰고 있다.
'늙은이와 아이들은 병들고 고단하여 행보가 더디었다. 밤새도록 걸어서 겨우 정령성에 도착하여 잠깐 쉬었다. 아침에 서운암터에 내려가 숨어서 날이 저물기를 기다리니 거기까지 올라왔던 왜병이 모두 내려갔다. 월운령에서 노숙을 하고, 아침에 처음으로 한 동네 사람을 만났다. 우리 마을에 죽은 사람이 100여명이 되었고, 아이들은 그대로 모두 버렸다고 한다.'

정유재란 때 남원과 운봉 사람들이 정령성과 지리산속 암자로 도망다닌 얘기가 눈물겹다.
유람이나 등산으로 정령까지 오르는 것도 힘드는데, 왜병들에 쫓기면서 피란 보퉁이를 메고 험준한 정령으로 올랐을 당시 지리산 사람들의 처절한 아픔은 짐작하기가 어렵지 않다.
피란은 기원 전인 마한시대부터 시작됐지만, 운봉 여원치와 함양 팔령치 사이를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이 왔다갔다 할 때, 고려말 아지발도의 왜구가 운봉을 점령했을 때, 그리고 정유재란과 6.25 등등 고난의 역사는 끝없이 되풀이 됐다.

김경렬님이 정령의 마애조각상을 우리의 자화상이라고 보았던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마애석상군을 '개령암지 마애불상군'으로 확인, 보물 제1123호로 지정했다.
마애조각상은 마한 피란도성의 정장군도, 황장군도 아니고, 부처님이라는 것이다. 그것도 '명월지불(明月智佛), 곧 진리의 화신인 비로자나불이이라고 하였다.
정령의 안내판에도 마애석상군으로 접근하는 오솔길 바로 직전의 평퍼짐한 곳을 '개령암지'로 그려놓았다.
부처님이라면 인고와 통한의 우리들 자화상일 수는 없다.

마애불상군에서 발길을 돌리는데 '자이언트' 이광전님이 그 아래 숲속으로 우리 일행을 이끌고 들어갔다.
"무속인들이 이곳에 베트콩 아지트같이 땅굴을 파고 숨어지내며 기도를 한다."
그들의 그 땅굴을 찾아보자는 것이었다.
정령치의 베트콩? 우습기도 하고 두렵기도 했다. 하지만 우리들은 한동안 잣나무 숲속을 살피고 다녔지만,  문제의 땅굴 아지트는 찾지 못했다. 관리공단 직원들이 쫓아냈을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땅굴 대신 둥글레가 밭을 이루다시피 지천으로 널려 있는 것을 보며 감탄했다.

우리들이 정녕 찬탄을 금치 못한 것은 야생화들이 온통 정령 일대 능선을 뒤덮고 있는 것이었다.
서북능선 북단의 바래봉 철쭉만 아름다운 화원은 아니었다. 정령 일원의 야생화는 또 얼마나 아름다운가.
'지리산 닷컴'의 김서곤님은 야생화들을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에 담느라 아주 열심이었다. 그는 아마도 이 날 수백 컷의 지리산 야생화들을 담았을 것이다.
오랜 옛날부터 전쟁과 피란의 비극이 점철된 곳, 하지만 지금은 그 아픔 대신 갖가지 야생화들이 자신들의 천국을 만들고 있다. 세월 무상인가.
(2002년 8월24일)

  • ?
    허허바다 2004.04.10 21:27
    정령치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습니다... 그곳에 포개어진 여러 장면들 동시에 겹쳐져 무겁게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 ?
    서인 2004.04.14 11:05
    정령치에 대한 새로운 느낌이 듭니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선생님의 글엔 폭넓은 이해가 가득합니다..매번 글을 읽는 저에겐 행운이겠지요.. 감사합니다..건강하십시요..서인 올림

  1. No Image

    잃어버린 '정령의 얼굴'(3)

    정령의 마애조각상을 찾은 김경렬님은 그 얼굴에 인고와 통한의 비장감이 담겨 있는 것을 지켜보며 "우리의 자화상(自畵像) 그대로다!"고 감탄했다. "마애조각상이 풍기는 뉘앙스는 어쩌면 혹독한 일제식민지 시대에 태어나서 온갖 핍박과 수모를 견디고, 8.15...
    Date2004.04.09 By최화수 Reply2 Views1563
    Read More
  2. No Image

    잃어버린 '정령의 얼굴'(2)

    '지리산 사랑을 위하여' 답사팀과 함께 달궁~심원계곡에 콸콸 쏟아져내리는 물길을 내려다 보고 있노라니, 10여년 전 심원마을에 들러 청정계류를 지켜보며 정령치 마애석상군에 대한 열변을 토하던 김경렬님이 문득 떠올랐다. "정령치로 가야겠습니다" 그러...
    Date2004.04.09 By최화수 Reply0 Views1101
    Read More
  3. No Image

    잃어버린 '정령의 얼굴'(1)

    서북능선 만복대와 고리봉 사이에 위치한 정령치는 달궁에 피란도성(避亂都城)을 열었던 마한(馬韓) 한 왕조의 정(鄭)장군이 쌓았던 수비성터다. 서산대사의 '황령암기(黃嶺庵記)'에 그렇게 씌어 있다. 지금은 성삼재 횡단도로와 함께 남원 구룡계곡과 달궁, ...
    Date2004.04.09 By최화수 Reply0 Views1806
    Read More
  4. No Image

    언제부터 '10리 벚꽃 터널'?

    '화개천이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곳에 자리한 화개장터는 영호남을 이어주는 가교였다. 길은 육로와 수로로 연결이 되고, 장터를 끼고 섬진강 나루터가 있다...남해의 해산물과 지리산 토산품이 함께 어우러지는 곳이었다. 구례길에서 횡이짐장수들과 섬진강 ...
    Date2004.03.16 By최화수 Reply2 Views1530
    Read More
  5. No Image

    왜 화개동천(花開洞天)인가

    지리산에 '화개동천(花開洞天)'이 있다. 섬진강과 지리산 주능선 사이의 신령스러운 골짜기이다.'화개동천'이란 꽃이 피고 신선이 사는, 하늘과 잇닿은 곳이란 뜻이다. '화개'란 이름은 쌍계사의 전신 옥천사(玉泉寺)의 창건 설화에서 유래한다. 고승 삼법화...
    Date2004.03.16 By최화수 Reply1 Views1543
    Read More
  6. No Image

    서정의 길, 하동포구 80리

    봄의 전령 화신(花信)이 찾아오는 것과 함께 가장 먼저 붐비기 시작하는 곳이 '하동포구(河東浦口) 팔십리'다. 지리산 10경의 하나인 섬진청류에 청아한 매화꽃에 이어 화사한 벚꽃이 분홍색 물감을 들인다. 이 땅의 봄의 환호를 섬진강변에서 신호탄처럼 펼...
    Date2004.03.16 By최화수 Reply2 Views1532
    Read More
  7.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5)

    함태식님이 노고단을 지킬 때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라고 외쳤던 데는 쓰레기를 버리지 말라, 떠들지 말라고 당부한 것이 분명하다. 지난 70년, 80년대에는 등산객들이 야영과 취사를 주로 하며 환경훼손은 물론, 엄청난 소음 공해를 일으켰다. 지리산 주...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2 Views1392
    Read More
  8.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4)

    찾는 사람도 별로 없어 썰렁한 피아골대피소에서 함태식님이 왜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를 강조하겠는가? 큰소리로 떠들지 말며,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말라는 뜻의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는 이미 30년 전 노고단 야영장의 북새통에서 써먹었지 않았는...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0 Views1320
    Read More
  9.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3)

    2002년 11월3일, 필자는 아마 오랫동안 이 날을 잊지 못할 것이다. 오후 4시를 조금 지난 시각, 구례구역에서 구례읍으로 들어오는 고개를 막 넘어설 때였다. 거세게 쏟아지던 빗줄기가 멎는 것과 함께 코발트빛 하늘에 햇살이 부채살처럼 퍼져올랐다. 바로 ...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0 Views1185
    Read More
  10.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2)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는 함태식님의 '지리산 전매특허'라고도 말할 수가 있겠다. 하지만 함태식님에 못지 않게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를 어김없이 실천에 옮기고 있는 이가 또 있다. 지리산의 또다른 털보인 불일평전 오두막의 변규화님이다. 불일평전 ...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0 Views122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