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543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리산에 '화개동천(花開洞天)'이 있다. 섬진강과 지리산 주능선 사이의 신령스러운 골짜기이다.'화개동천'이란 꽃이 피고 신선이 사는, 하늘과 잇닿은 곳이란 뜻이다. '화개'란 이름은 쌍계사의 전신 옥천사(玉泉寺)의 창건 설화에서 유래한다.
고승 삼법화상이 당나라에서 육조 혜능의 정상을 봉안해 올 때 눈 위에 꽃이 피는 곳에 안치하라는 몽수를 받았다. 그가 강주(진주)에 도착하니 지리산 호랑이가 마중을 나와 인도를 했다. 그 호랑이를 따라가니 눈 덮인 곳에 칡꽃이 만발해 있었다.
그곳에 절을 세워 옥천사라 했다는 것이다.

겨울에도 칡꽃이 핀다고 하여 화개란 이름이 생겨났다. 그렇다면 신선이 살고 있고 하늘과 잇닿아 있다는 '동천'이란 왜 붙여졌는가?
지리산에는 전설적인 유토피아, 곧 이상향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믿어왔다. 난리를 피하고, 먹을 것이 많고, 무병장수하는 별유천지, 곧 '청학동(靑鶴洞)'이 존재한다는 것이 '정감록' 등의 문헌과 수많은 시인묵객, 은둔거사들의 기록과 행적, 전설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고려 무신정권 시대에 잠시 벼슬 자리에 올랐던 이인로(李仁老, 1152~1220)는 자신의 저서 '파한집(破閑集)'에 청학동이 다음과 같다고 썼다.

'지리산 속에 청학동이 있다. 그 곳으로 들어가는 길은 아주 좁아서 사람도 겨우 지나갈 정도다. 기어서 가다시피하여 수십리 쯤 들어가야 비로소 아주 넓은 곳에 다다른다. 주위는 모두 기름진 밭과 땅으로서 씨 뿌리고 농사 짓기에 알맞고, 나무를 심어서 숲이 우거져 그 속에는 푸른 학(청학, 靑鶴)이 서식하고 있어서 '청학동'이라고 부른다.'

이인로는 실제로 청학동을 찾기 위해 소 두 필에 죽롱을 싣고 지리산으로 찾아왔다. 그가 청학동으로 믿고 발길을 들여놓은 곳이 바로 화개천을 거슬러오르는 화개동천이었다.

'지나는 곳마다 선경이 아닌 곳이 없었다. 천암이 다투어서 솟아있고, 온갖 골짜기에는 맑은 물이 소리내어 흐른다. 대나무 울타리에 때를 입힌 집들이 복숭아꽃, 살구꽃에 어리어 정말 인간이 사는 곳이 아닌 듯하다.'

그이는 신흥사(현재의 신흥부락)에 묵으며 화개동천 일대에서 청학동을 찾아다녔지만, 끝내 찾아내지 못했다.
'...지팡이를 짚고 청학동을 찾으려 하나 건너편 숲속에선 원숭이 울음소리만 들리네...묻노니 청학동이 어디메뇨, 꽃잎만 어지럽게 흘러 사람만 어지럽히노나.'
그는 이런 글을 새겨놓고 지리산을 떠나갔다.

지리산에는 청학동 못지 않게 '삼신동(三神洞)'의 개념이 강하게 퍼져 있다. 삼신동과 청학동은 그 개념이 비슷하면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정감록'은 '청학동에 살면 무병장수하고 죽으면 신선이 된다'고 썼다. 삼신동은 청학이 살고 있다는 것은 같지만, '살아서도 신선이 되어 영생한다'고 하였다. 청학동은 현실적인 집단의 이상향이요, 삼신동은 미학적인 개인의 이상향이라고 볼 수도 있다.

지리산에 삼신동의 개념을 심은 것은 신라말의 대학자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이다. 그가 화개동천에 '三神洞'(삼신동)이란 각자(刻字)를 남긴 것이다.
최치원은 지금의 신흥동 신흥교 바로 옆 큰 바위에 '삼신동'이란 글자를 새겨놓고, 불일폭포에서 푸른 학과 노닐면서 학연(鶴淵)에서 신선이 되어 지금까지 영생하고 있다는 전설이 있다.

조선시대의 대학자들인 김일손, 조식 등은 불일폭포를 청학동으로 이해하고 있다. 조식은 지리산 기행록인 '유두류록'에서 청학 두서너 마리가 불일폭포 위에서 노닐고 있다면서 '그 아래 학연이 있는데 어두컴컴하여 밑간 데를 모르겠다...그 속에 신선들과 큰 신령과 긴 이무기와 거북이 숨어 살면서 만고토록 수호하며...'라 썼다.

조식은 또 '어느 사람이 나무를 베어 사다리를 세우고 겨우 입구에 들어가서 이끼 낀 돌 하나를 주워서 보니 '三神洞'(삼신동)이란 세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화개동천의 삼신동은 현재의 신흥동과 불일폭포 두 곳에 존재하는 셈이다.

이런 예를 들자면 끝이 없다. 어쨌든 '화개'란 이곳 지명이 생겨난 배경, 그 뒤에 '동천'이란 이름이 왜 붙었는지는 위의 얘기들 만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 화개동천에 지금 꽃이 피고 있다.
겨울에도 칡꽃이 피는 곳이니 하물며 온갖 꽃들이 피어나는 봄철의 화개동천 빛깔이 어떠할 지는 상상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2001년 3월22일)
  • ?
    허허바다 2004.03.26 11:12
    글로만 그 유래를 이해했었는데 이번에 보니 정말 신선이 살고 있고 하늘과 닿은 정말 멋있는 곳이란 것을 체험했나이다... 만나 뵈어서 정말 뜻 깊었습니다...

  1. No Image

    잃어버린 '정령의 얼굴'(3)

    정령의 마애조각상을 찾은 김경렬님은 그 얼굴에 인고와 통한의 비장감이 담겨 있는 것을 지켜보며 "우리의 자화상(自畵像) 그대로다!"고 감탄했다. "마애조각상이 풍기는 뉘앙스는 어쩌면 혹독한 일제식민지 시대에 태어나서 온갖 핍박과 수모를 견디고, 8.15...
    Date2004.04.09 By최화수 Reply2 Views1563
    Read More
  2. No Image

    잃어버린 '정령의 얼굴'(2)

    '지리산 사랑을 위하여' 답사팀과 함께 달궁~심원계곡에 콸콸 쏟아져내리는 물길을 내려다 보고 있노라니, 10여년 전 심원마을에 들러 청정계류를 지켜보며 정령치 마애석상군에 대한 열변을 토하던 김경렬님이 문득 떠올랐다. "정령치로 가야겠습니다" 그러...
    Date2004.04.09 By최화수 Reply0 Views1101
    Read More
  3. No Image

    잃어버린 '정령의 얼굴'(1)

    서북능선 만복대와 고리봉 사이에 위치한 정령치는 달궁에 피란도성(避亂都城)을 열었던 마한(馬韓) 한 왕조의 정(鄭)장군이 쌓았던 수비성터다. 서산대사의 '황령암기(黃嶺庵記)'에 그렇게 씌어 있다. 지금은 성삼재 횡단도로와 함께 남원 구룡계곡과 달궁, ...
    Date2004.04.09 By최화수 Reply0 Views1806
    Read More
  4. No Image

    언제부터 '10리 벚꽃 터널'?

    '화개천이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곳에 자리한 화개장터는 영호남을 이어주는 가교였다. 길은 육로와 수로로 연결이 되고, 장터를 끼고 섬진강 나루터가 있다...남해의 해산물과 지리산 토산품이 함께 어우러지는 곳이었다. 구례길에서 횡이짐장수들과 섬진강 ...
    Date2004.03.16 By최화수 Reply2 Views1530
    Read More
  5. No Image

    왜 화개동천(花開洞天)인가

    지리산에 '화개동천(花開洞天)'이 있다. 섬진강과 지리산 주능선 사이의 신령스러운 골짜기이다.'화개동천'이란 꽃이 피고 신선이 사는, 하늘과 잇닿은 곳이란 뜻이다. '화개'란 이름은 쌍계사의 전신 옥천사(玉泉寺)의 창건 설화에서 유래한다. 고승 삼법화...
    Date2004.03.16 By최화수 Reply1 Views1543
    Read More
  6. No Image

    서정의 길, 하동포구 80리

    봄의 전령 화신(花信)이 찾아오는 것과 함께 가장 먼저 붐비기 시작하는 곳이 '하동포구(河東浦口) 팔십리'다. 지리산 10경의 하나인 섬진청류에 청아한 매화꽃에 이어 화사한 벚꽃이 분홍색 물감을 들인다. 이 땅의 봄의 환호를 섬진강변에서 신호탄처럼 펼...
    Date2004.03.16 By최화수 Reply2 Views1532
    Read More
  7.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5)

    함태식님이 노고단을 지킬 때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라고 외쳤던 데는 쓰레기를 버리지 말라, 떠들지 말라고 당부한 것이 분명하다. 지난 70년, 80년대에는 등산객들이 야영과 취사를 주로 하며 환경훼손은 물론, 엄청난 소음 공해를 일으켰다. 지리산 주...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2 Views1392
    Read More
  8.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4)

    찾는 사람도 별로 없어 썰렁한 피아골대피소에서 함태식님이 왜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를 강조하겠는가? 큰소리로 떠들지 말며,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말라는 뜻의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는 이미 30년 전 노고단 야영장의 북새통에서 써먹었지 않았는...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0 Views1320
    Read More
  9.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3)

    2002년 11월3일, 필자는 아마 오랫동안 이 날을 잊지 못할 것이다. 오후 4시를 조금 지난 시각, 구례구역에서 구례읍으로 들어오는 고개를 막 넘어설 때였다. 거세게 쏟아지던 빗줄기가 멎는 것과 함께 코발트빛 하늘에 햇살이 부채살처럼 퍼져올랐다. 바로 ...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0 Views1185
    Read More
  10. No Image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2)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는 함태식님의 '지리산 전매특허'라고도 말할 수가 있겠다. 하지만 함태식님에 못지 않게 "조용히, 그리고 깨끗이"를 어김없이 실천에 옮기고 있는 이가 또 있다. 지리산의 또다른 털보인 불일평전 오두막의 변규화님이다. 불일평전 ...
    Date2004.03.09 By최화수 Reply0 Views122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