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304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해발 1,750미터 장터목(場基頂)은 주능선 가운데 가장 번잡한 곳의 하나이다. 지난날 산청군 시천 사람들과 함양군 마천 사람들이 이곳까지 올라 물물교환을 했던 장터가 섰다고 하여 '장터목'으로 불리고 있다.
등산객들이 이곳까지 걸어서 오르는 데도 힘들어 하는데, 옛 사람들은 등짐을 가득 지고 장을 보러 올랐다니 삶의 의지가 얼마나 치열했었는지 짐작케 해준다.
그런데 이 장터목은 엉뚱한(?) 기록도 한가지 가지고 있다.

1988년 11월27일, 장터목에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자랑스럽게 입간판 하나를 세우게 됐다.
'한국전기통신공사는 사람이 있는 곳에는 어디에나 전화가 있도록 한다는 사업 목적에 따라 이곳 지리산 천왕봉 아래 장터목산장과 세석산장에 전화를 설치했습니다. 장터목산장 전화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설치한 전화입니다...'
당시 예산 1억원, 케이블 19,200미터와 전주 83개 등이 소요됐고, 115일의 난공사 끝에 겨우 완공했다.

휴대폰 소리가 요란한 지금 생각하면 우스운 일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겨우 10여년 전의 일로 결코 옛날 얘기도 아니다.
어쨌든 당시에는 장터목에 '전화전신업무 취급소'까지 차려져 악천후 등으로 조난객이 갇혀 있을 때 가족과 통화를 하는 등 큰 기여를 했던 것도 사실이다.
전화 가설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것은 산장 앞의 '메시지판'이었다.
'김아무개, 속히 귀가할 것, 아버지 별세!'
이런 큼지막한 글씨가 나붙고는 했다.

이 전화가 가설될 무렵 장터목에는 제법 큼지막한 새 산장이 들어섰다. 71년 노고단, 세석산장과 함께 세워졌던 기존 산장은 너무 협소하여 등산객들을 감당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장터목에는 매년 여름 진주의 중고교 학생들이 단체로 올라와 수련행사를 갖는 일이 많았다. 학생들이 야영장을 독점하여 일반 등산객들은 발을 붙이기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았다.
장터목 산장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일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현대판 시장바닥'인 장터목의 그 악조건을 무릅쓰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잘 관리하여 산장 운영의 모범을 보인 주인공이 최진경이란 젊은이다. 대학에서 무역학을 전공하여 무역회사에도 근무한 경력이 있는 그는 아주 인상이 좋은 미남자였다.
그가 산장 일을 한 것은 84년부터다. 그는 지성인답게 합리적인 원칙을 세워 산장관리를 해왔다. 등산객이 산장 앞에 도착순으로 배낭을 세워놓게 된 것도 그의 작품(?)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장터목산장을 오래 전부터 임대받아 운영한 진짜 주인은 그의 아버지 최인섭이었다. 장터목산장의 고달픈 역사는 아버지 최인섭이 고스란히 감수했었다.
천왕봉 일출의 전진기지인 장터목은 언제나 폭발적인 사람들에 묻혔고, 좁은 산장에 그 일부도 수용하기 어렵다보니 갖가지 곤혹스런 일들이 벌어지기 일쑤였다.
그 혼란을 어찌 감당했을까?
최인섭은 노고단의 함태식, 세석산장의 오진우와는 산장 관리 방식이 아주 달랐다.

그이는 산장관리인답지 않다고 오해를 받을 정도로 언제나 조용하고 말이 없는 사람이었다.
"쓰레기를 치워라" '노래를 부르지 말라" "기타를 치지 말라" 따위의 말을 하지 않았다. 그는 간섭하고 소리치는 대신 그 스스로 묵묵히 쓰레기를 수거했다.
그는 겨울철에 얼어붙은 분뇨를 곡괭이로 파내다 눈을 다치기도 했다.
틈틈이 책을 읽어 독서량이 많은 그는 지성과 인품으로 조용하고 차분하게 설득하며 산장관리를 해왔던 것이다.

아버지 최인섭의 이런 산장 관리방식은 아들 최진경에 의해 더욱 세련되고 합리화 됐다. 장터목에 더 큰 산장이 들어서자 최진경은 사회생활을 청산하고 아버지의 대를 이어 '평생 장터목 사람'이 되기로 했다.
하지만 그의 그 꿈도 97년 장터목에 다시 국립공원 관리공단 직영 새 산장이 들어서면서 무산되고 말았다.
천왕봉의 길목 장터목에서 부자 2대에 걸쳐 장명등에 불을 밝혔던 그 긴 세월이 거센 바람과 함께 날아간 것이다.

더욱 안타까운 사연도 있다. 아들 최진경이 장터목에서 물러나지 않을 수 없게 된 그 무렵, 아버지 최인섭은 불의의 교통사고로 숨지고 말았다.
덕산에서 술을 마시고 자가운전으로 중산리의 집으로 돌아오던 그이가 임산부를 싣고가던 승용차와 정면충돌, 현장에서 임부와 함께 즉사한 것이다.
'장터목의 지성인' 최인섭의 최후는 너무나 지리산답지 않았다.
어찌 그이가 그런 충격과 아쉬움을 남기고 떠나갔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중산리 매표소 입구 주차장에 단층의 상가 건물 한 동이 있었다. 그 한쪽 편이 '지리산식당'이었는데, 최인섭의 부인과 딸이 손수 운영했었다.
음식이 맛갈나고 정갈하여 많은 등산객의 사랑을 받았다. 특히 정성이 듬뿍 담긴 국수 맛이 일품이었다.
최진경의 여동생은 날씬하고 상냥한 미인으로 총각들 속을 끓게도 했다.
지리산을 찾는 우리들에게 여러 각도에서 기쁨을 안겨주던 최진경 일가족, 지금은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궁금하기만 하다.
(2001년 9월16일)
  • ?
    moveon 2004.05.14 19:54
    저도 최진경씨의 근황이 궁금합니다. 공단관리하로 들어가기전 장터목에서 한번 뵌적이 있었는데. . .

  1. No Image

    영신대(靈神臺)는 어디에?(2)

    지리산 최고의 경승지이자 기도처인 영신대를 처음으로 일반인에게 널리 알린 사람은 '지리산 박사' 김경렬옹이다. 그이는 만주에서 통신사 기자로 지내다 해방 이후 부산에서 언론인으로 활약했다. 한학에 밝은 그이는 특히 옛 문헌을 바탕으로 지리산의 인...
    Date2004.05.19 By최화수 Reply0 Views1905
    Read More
  2. No Image

    영신대(靈神臺)는 어디에?(1)

    대성계곡 등산로의 산행 기점은 의신마을과 그 2킬로미터 아래 있는 대성교(大成橋) 두 곳이다. 따로 시작된 두 길이 얼마 뒤 하나로 마주치는데, 바로 그곳에 옛 능인사(能仁寺) 터가 있다. 당장이라도 집을 세울 수 있을 만큼 넓고 편편한 터에 샘도 있다. ...
    Date2004.05.19 By최화수 Reply0 Views1940
    Read More
  3.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10)

    지리산에 대한 기행록은 1472년 김종직의 '유두류록' 등 옛날의 관리나 선비들에 의해 상당수 전해온다. 그런데 6.25를 전후하여 동족상쟁의 처절한 상채기를 남긴 이후의 지리산 이야기는 누가 가장 먼저, 또 가장 많이 집중적으로 기록했을까? 그 주인공은 ...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2 Views1618
    Read More
  4.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9)

    남한 육지에서 가장 높은 곳은 지리산 천왕봉이다. 그럼 남한 육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샘터는? 당연히 천왕샘이다. 천왕봉 남쪽을 지탱하는 거대한 암괴 아래 이 천왕샘이 있다. 중산리에서 법계사를 거쳐 천왕봉으로 오르는 이들에게 정상 등...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0 Views1503
    Read More
  5.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8)

    해발 1,750미터 장터목(場基頂)은 주능선 가운데 가장 번잡한 곳의 하나이다. 지난날 산청군 시천 사람들과 함양군 마천 사람들이 이곳까지 올라 물물교환을 했던 장터가 섰다고 하여 '장터목'으로 불리고 있다. 등산객들이 이곳까지 걸어서 오르는 데도 힘들...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1 Views1304
    Read More
  6.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7)

    우천 허만수가 지리산에 입산한 것은 전란 직후인 1950년대 중반으로 짐작된다. 빨치산과 군경토벌대의 격전이 벌어졌던 시기에 그는 경남 의령의 자굴산에서 보냈다. 산정 가까운 곳에 땅굴을 파고 풀을 바닥에 깔고 원시인(?)처럼 살았다. 그가 세석고원에 ...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0 Views1314
    Read More
  7.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6)

    지난 8월31일 필자는 'parksk2017'이란 아이디만을 밝힌 한 '산악선배'로부터 아주 반가운 e메일 한 통을 받았다. 지난 70년대 지리산 주능선을 답파했던 이 분은 당시의 산행 상황을 알려주는 글을 보내온 것이다. 그 때의 등산장비와 산꾼들의 편모가 여간 ...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0 Views1436
    Read More
  8.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5)

    덕평봉(1521미터) 정상 조금 아래편에 사철 달고 시원한 물이 솟아나는 샘이 있다. 옛날에 선비들이 이 샘물을 마시면서 공부를 했다고 하여 '선비샘'으로 불린다. 이 샘에는 거짓말 같은 전설도 있다. 샘 아래편의 상덕평(上德平)마을에서 평생 가난에 눌려 ...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2 Views1273
    Read More
  9.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4)

    9월2일 의신마을에서 빗점골~명선봉~벽소령을 돌아오는 '지리산 통신' 9월 정기산행이 있었다. 8월 정기산행 때 발목을 접질렀던 필자는 '탐승조'로 산행에는 참가하지 않을 작정이었다. 그런데 어찌어찌하다 산행팀을 끝까지 따라가게 됐다. 벽소령에 도착했...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0 Views1196
    Read More
  10. No Image

    주능선의 그리운 얼굴들(3)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 주능선상의 노점은 1424봉, 노루목, 토끼봉, 화개벽소령, 마천벽소령, 선비샘, 천왕봉에 있었다. 이 가운데 천왕봉은 등정 기념메달에 이름을 새겨주는 것만 했고, 나머지는 커피와 약차 등 음료를 팔았다. 이들 노점상은 일...
    Date2004.05.12 By최화수 Reply1 Views148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