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50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는 가끔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을 역류하고 싶을 때가 있다. 세월을 거슬러 옛날로 돌아가는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실제로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옛날의 자취가 어린 곳들을 찾는다.
이런 마음으로 지리산을 찾아보고 싶다면 '단구성(丹丘城)'의 땅 산청군 단성면 깊숙이 숨겨져 있는 청계(淸溪)계곡의 단속사(斷俗寺) 터 일원이 안성맞춤일 것이다.
청계계곡 일원을 찾아보는 것은 천왕봉에 오르는 것보다 더욱 값진 시간일 수 있다.

단성에 자리한 면화시배지에서 덕산으로 이어진 20번 국도를 따라 3킬로미터만 가면 40채의 기와집들이 고졸한 멋을 풍기는 남사(南沙)마을을 만난다.
청계계곡 들머리에 자리하면서 고려 때는 왕비를, 조선시대는 영의정과 의병장을, 그리고 일제 때는 독립투사 등을 배출했고, 향약(鄕約)인 '남사동안(南沙洞案)'과 조선 태조 교서(敎書)를 간직하고 있는 유서깊은 마을이다.
다소 과장이 심한 솟을 대문 등 기와집들과 흙돌담길의 정취가 시간여행의 분위기를 띄워준다.

이 남사마을을 지나 1킬로미터 가량 가면 바른편으로 호암교란 작은 교량이 있는데, 2차선 포장도로가 이어져 있다.
20번 국도에서 보면 야트막한 산이 가로막고 있어 그 쪽으로 도로를 낸 것이 이해가 안 갈 정도다. 근년에 이곳의 도로를 확장하기까지는 그 안에 마을이 있으리라고 생각조차 되지 않았다. 지리산의 전형적인 지형 특징인 '병 주둥이' 입구이기 때문이다.
지난날에는 어쩌다 소달구지나 한가롭게 드나들고는 하던 그 안쪽 깊숙이 청계계곡이 길게 열려 있다.

'병 주둥이' 안으로 들어서면 꽤 넓은 들판이 열리고 큰 마을이 자리한다.
입석(立石)리, 곧 선사시대에 이곳에 사람이 살았음을 말해주는 마을이다. 입석초등학교 교정에 서있는 높이 2미터의 선돌이 청계계곡에서의 오랜 삶의 역사를 말해준다.
웅석봉에서 흘러내린 지맥이 좁다란 들판을 사이에 두고 평행선을 그릴 뿐 계곡은 아직도 그 들판 사이로 낮게 잠겨 있을 뿐이다.
자동차로 내달리면 청계계곡의 입구를 놓쳐버리기 십상이다. 그러니까 답사는 걸어서 다녀야 한다.

입석마을 다음으로 마주치는 마을, 용두리에서는 정말 자동차에서 내려야 한다.
이 마을에서부터 한동안 계곡을 따라 걸어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용두리에서 만나는 계곡은 처음에는 너무 평범하여 아무런 감흥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1킬로미터 가량 거슬러 오르면 계곡 옆 암벽들이 심상찮은(?) 느낌을 안겨준다.
도로가 나기 전에는 이 계곡을 따라 길이 열려 있었을 것이고, 옛 선인들은 갑자기 나타난 좌우의 거대한 직벽을 그냥 보아 넘기지 않았을 터이다.

'계곡에 들어서니 바위를 깎은 면에 '廣齊암門'(광제암문, 주=암자는 品자 아래 山자를 받쳐쓴 글자임)이란 네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글자의 획이 힘차고 예스러웠다. 세상에서는 최고운(최치원)의 글씨라 한다'
-1489년 김일손이 '속두류록'에 기록한 이 대목이 바로 이곳을 가리킨다.
우리는 이 '광제암문' 각자를 꼭 찾아보아야 한다.
바로 단속사(斷俗寺) 산문(山門)인 때문이다.
이 석벽은 단속사로 들어가는 천연 석문으로 절의 규모를 이해하려면 필수 코스로 찾아야 한다.

그런데 필자는 '광제암문' 각자를 지난 1월6일 처음으로 찾아냈다.
그 사이 단속사지를 여러 차례 드나들었지만 절터만 밟았을 뿐이었다. 고작 절터에 남아있는 동, 서탑과 당간지주, 정당매를 돌아보고 단속사 어쩌고 하는 글을 썼으니 부끄러웠다.
사찰의 면모를 이해하려면 산문부터 제대로 찾아보는 것이 순서다.
그런데 늦게 찾은 벌을 내린 것일까. 필자는 직벽 일대를 샅샅이 살펴보고도 찾지 못해 용두리로 되돌아갔다. 마을사람에게 확인한 뒤 두번째만에 찾아냈다.

단속사는 신도들이 이 광제암문에서 짚신을 갈아신고 절을 한바퀴 돌아나오면 짚신이 다 닳았을 정도로 규모가 장대했다고 한다.
또 아침 저녁으로 쌀을 씻은 물이 10리 밖 냇물에까지 뿌옇게 미쳤다 할 정도로 수많은 민초들이 찾아들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치원이 썼다는 '광제암문'이란 글자체가 그이의 다른 글씨와 전혀 닮지 않았다.
'광제암문' 각자가 최고운 글씨라는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은 잘 못인 듯하다.
고려 성종 14년(905년) 단속사 스님이 썼다는 설이 맞을 듯하다.

광제암문에서 2킬로미터를 더 가면 단속사다.
웅석봉에서 흘러나온 옥녀봉 아래 청계계곡을 끼고 자리한 방대한 규모의 대사찰 단속사, 이 사찰이 어쩌다 탑과 당간지주만 남긴 채 사라진 것일까?
아니, 절터마저 '탑동'이란 마을로 변해버린 것일까?
그보다 더욱 관심을 끄는 것은 단속사(斷俗寺)란 절 이름이다.
산문(山門)에 드는 것 자체가 속세와 인연을 끊은 것을 뜻하는데, 절 이름까지 그렇게 지은 까닭은 무엇일까?
그 옛날의 단속사로 시간여행을 해보지 않을 수 없다.
(2002년 1월20일)

  1. No Image

    '청계계곡 단속사' 시간여행(1)

    우리는 가끔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을 역류하고 싶을 때가 있다. 세월을 거슬러 옛날로 돌아가는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실제로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옛날의 자취가 어린 곳들을 찾는다. 이런 마음으로 지리산을 찾아보고 싶다...
    Date2004.05.28 By최화수 Reply0 Views1509
    Read More
  2. No Image

    손경석의 '지리산의 터줏대감'

    '한국산서회(韓國山書會)'의 회지 <山書> 통권 제12호(2001년 11월10일 발행)에 실린 손경석님의 '지리산의 터줏대감' 내용 일부를 여기에 옮겨 싣는다. 지리산 초기 등반사와 역대 터줏대감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는 글이다.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에 ...
    Date2004.05.23 By최화수 Reply1 Views1620
    Read More
  3. No Image

    맑은 바람 걸음마다 일어나고

    불일평전에서 30년 산중생활을 이어오고 있는 변규화님의 진면목은 무엇일까? 그것은 꽤 오랜 세월이 흘러도 20여년 전 처음 만났을 때와 조금도 그 모습이 변하지 않는데 있지 않은가 한다. 사실 아무리 생각해도 그것이 신통하기만 하다. 신선의 경지에 이...
    Date2004.05.23 By최화수 Reply0 Views1247
    Read More
  4. No Image

    감나무와 염소가 그린 그림

    경남 산청군 삼장면 면소재지 대포리는 지난 60년대까지 천왕봉 등정의 산행 기점이었다. 필자의 '우리들의 산' 산악회도 80년대와 90년대 초반 이 대포리를 산행 기점으로 삼았던 적이 많았다. 당시 산행은 한결같이 대절버스를 이용했는데, 이 버스는 마을...
    Date2004.05.21 By최화수 Reply0 Views1640
    Read More
  5. No Image

    무산된 '대포리(大浦里) 꿈'

    1561년 남명 조식은 회갑 나이에 집과 전답도 버리고 맨몸으로 고향을 등진다. 그가 생애 마지막 거주지로 정하고 찾아든 곳이 양당촌(덕산, 산청군 시천면 사리)이었다. 그는 지리산을 17차례나 탐승한 끝에 천왕봉이 올려다 보이는 이곳에 정착, 그 소회를 ...
    Date2004.05.21 By최화수 Reply0 Views1357
    Read More
  6. No Image

    환상과 자유의 적요한 산길

    지리산 자락들에 둘러싸인 채 20여리나 들판길처럼 부드럽고 평탄한 길이 열려 있다. 평일에는 사람의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 적막강산이다. 자동차 소리도, 사람 소리도 들리지 않아 현실세계와 완전 단절된 듯한 길이다. 묵은 논밭과 계곡이 가까이 있고, 사...
    Date2004.05.21 By최화수 Reply1 Views1605
    Read More
  7. No Image

    영신대(靈神臺)는 어디에?(6)

    영신대에서 영신봉 주능선으로 오른 우리 일행은 곧 세석산장에 도착했다. 대원사주차장 대원상회 주성호의 친형 주성근님이 이곳의 관리소장으로 부임해 있었다. 그가 내준 커피를 마시니 사람 사는 세상으로 돌아온 느낌이다. 꽤 많은 등산객들이 활기차게 ...
    Date2004.05.20 By최화수 Reply0 Views1740
    Read More
  8. No Image

    영신대(靈神臺)는 어디에?(5)

    2001년 6월17일. 어젯밤 늦게 잠자리에 들었지만 아침 5시께 일어나기가 바쁘게 밖으로 나왔다. 의신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녹색의 숲이 너무나 싱그럽다. 오늘 무려 12년만에 영신대를 찾아간다. 다른 때와 달리 약간의 긴장과 흥분이 따른다. 12년 전, 필자...
    Date2004.05.19 By최화수 Reply2 Views1688
    Read More
  9. No Image

    영신대(靈神臺)는 어디에?(4)

    대성폭포를 지나면서 느끼기 시작한 허기는 급속도로 온 몸으로 퍼져나갔다. 그런데 등산로는 이제부터 더욱 까다로와지는 것이었다. 폭포를 지나 왼편의 숲을 끼고 가던 우리는 얼마 후 계곡을 버리고 왼쪽으로 크게 원을 그리며 돌아들어갔다. 그것은 길인 ...
    Date2004.05.19 By최화수 Reply1 Views1634
    Read More
  10. No Image

    영신대(靈神臺)는 어디에?(3)

    당시 의신마을에는 세 청년이 있었다. 벽소령 상주천막의 조봉문, 빗점골에서 토봉을 치고 있는 정근수, 그리고 이곳에 산간학교를 세울 꿈에 부풀어 있는 총각 정영훈이 그들이다. 조봉문은 힘이 장사로 한꺼번에 화개 막걸리 두 말을 메고 벽소령까지 걸어...
    Date2004.05.19 By최화수 Reply0 Views160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