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2102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납량 6] 종녀촌의 '성(性)축제'
                                   2002년 08월 02일

오래 전에 '전설따라 삼천리'란 라디오 방송 프로가 있었다. 용이 못 된 이무기며, 사람으로 변신한 백여우, 뱀과 까치의 싸움하며 으시시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 '전설따라...'보다 더 뇌리에 깊이 각인돼 있는 것은 시골에서 성장할 때 마을 할머니들에게 들었던 달걀 귀신이나 '매구(마귀)' 이야기였다.
한여름밤 모갯불이 피어진 평상에 둘러앉아 소름이 오싹오싹 돋는 그런 얘기를 듣고 있노라면 초가지붕 위의 아름다운 박꽃마저 귀귀한 모습으로 다가오던 기억이 새롭다.

하지만 지나고 보니 귀신 얘기나 전설은 한결같이 그게 그것이었다. 관광지에서 팔고 있는 기념품이란 것이 전국 어느 곳이든 그게 그것인 것과 같다.
지리산에도 꽤 많은 전설이 있다. 하지만 이 역시 다른 지역의 전설과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또한 나이든 이들에게 소름이 돋아나게 할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다만 한 가지, 지리산 전설 가운데 '종녀촌(種女村)' 이야기는 아주 색다르다. 으시시한 얘기라기 보다는 '씨받이 여인'의 잔인한 삶이 냉기를 불러 일으킨다.

지리산 피아골 깊은 곳에 종녀촌이 있었다. 씨받이 여인이 모여 사는 마을이었다. 이 종녀촌에는 성신(性神)어머니라고 불리는 절대자가 많은 씨받이 여인(종녀, 種女)들과 시동(侍童)을 거느리고 삶을 이어갔다.
성신어머니는 인근 마을에 아이를 낳지 못하는 집이 있으면 자신이 데리고 있는 종녀를 보내 아이를 낳게 해주고 그 대가로 먹고 살 수 있는 물품들을 받아왔다.
종녀들은 아들을 낳게 되면 곧 혈육의 정을 끊고 아이를 넘겨주고 홀로 종녀촌으로 쓸쓸하게 돌아와야 했다.

종녀가 딸을 낳았을 때는 그 아이를 종녀마을로 데려와서 길렀다. 그 아이가 다시 종녀로 자라날 때까지 키워선 다시 성신어머니에게 바쳤다. 종녀의 딸은 다시 종녀가 되고, 그 종녀의 딸은 또다시 종녀가 되는 악순환이 끝없이 되풀이 되었다.
종녀들은 헐벗고 굶주린 채 살면서도 씨받이 여인이란 평생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었다. 피아골 그 깊은 골짜기 속에서 나무와 풀과 물과 돌팍들에 둘러싸여 종녀들은 씨받이 생명의 운명을 어머니에게서 딸로 이어져 갔다.

종녀들은 비참했지만, 그들을 지배하는 성신어머니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망을 불태우는 놀랍도록 적나라한 '성(性)의 축제'를 펼쳤다.
지리산 피아골 깊은 골짜기의 성의 축제라니, 상상이 되는가?
종녀촌을 지배하는 성신어머니는 성신굴(性神窟)에서 성의 제전을 마음 내키는대로 펼쳤다. 성신굴에는 성신상을 거대하게 세워놓았고, 그 옆에는 남근(男根)을 새겨놓은 제단이 차려져 있었다.
종녀들에게는 인내와 체념만을 강요하는 성신어머니였지만, 그녀 자신은 어떠했던가?

성신어머니의 잔임함이라니! 그녀는 종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성적 욕망을 시동들과 함께 짐승처럼 불태웠다. 성신어머니는 그 짓을 종녀들의 무궁한 생산 능력을 빈다는 기원제로 핑계를 삼았다.
성신어머니는 제단에 온갖 음식을 올려놓고 그 앞에서 주문을 외다가 다시 한바탕 춤을 추고, 마침내 시동들과 욕정을 불태우는 향락을 씨받이 여인들에게 적나라하게 모범적으로 시범(?)을 보여주는 것으로 클래이맥스를 치렀다.
종녀들에겐 너무나 잔인하고 가혹한 성의 축제였다.

씨받이 여인들에 대한 슬픈 사연이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지리산 피아골 종녀촌 전설은 성신어머니가 성신굴에서 시동들과 농염한 정사를 벌이는 것을 씨받이 여인들에게 보여준다는 점이 아주 색다르다.
씨받이 여인들의 숙명적인 운명도 기막히지만, 거기에 성신어머니의 광란이 잔인의 극치로 합쳐지는 것에 소름이 끼치지 않는가.
종녀촌 전설은 어쩌면 어떤 귀신 이야기보다 더 무섭고 기괴하고 혐오스럽다. 인간으로서 어찌 이럴 수도 있다는 것일까?

피아골은 단풍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계곡미도 빼어나다. 원시수해와 청정계류, 유난히 많은 돌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피아골계곡도 삼거리를 지나 용수암으로 들어서면 아주 부드러운 육산으로 특유의 평화로운 적요함이 가득하다. 용수암 골짜기를 혼자 걸어가면 '한없이 높고 깊은 지리산 세계'에 대한 사색에 저절로 안겨든다.
이 세상의 온갖 시끄러움과 번잡을 완벽하게 차단한 그 곳에서 우리는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 종녀촌 전설을 떠올리면 한 줄기 냉기가 엄습하지 않을까.

  • ?
    선경 2007.08.24 09:01
    납량특집이야기 잘보고 갑니다
    이제 올여름도 서서히 가는길을 재촉하는군요
    멀리서 미소짓는 가을의 문턱에서
    여산선생님께서도 늘 건강하시고 캠퍼스강의도
    사랑스런제자들에게 멋진강의시간 되세요~~~

  1. No Image

    [납량 3] 낮에 나온 '반달'(?)

    [납량 3] 낮에 나온 '반달'(?) 2002년 07월 24일 귀신은 누가 쫓아내는가? 닭이다. 닭이 우는 소리가 들리면 부리나케 꽁무니를 감춘다.온갖 귀신 얘기들도 닭울음 소리와 함께 끝이 나는 것이다. 닭이 울면 새벽이 온다. 날이 밝아지면 귀신은 설 자리를 잃...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0 Views1807
    Read More
  2. No Image

    [납량 2] 한밤의 검은 사자들

    [납량 2] 한밤의 검은 사자들 2002년 07월 22일 연하천산장에서의 꿈 이야기는 참으로 야릇한 것이었다. 이광전 님은 산장 청년과 장 총각이 마치 서로 짜고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두 청년의 너무나 진지한 모습에서 뭐라고 한 마디 참견...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0 Views1706
    Read More
  3. No Image

    [납량 1] 꽃을 든 소복의 여인

    정말 무더운 날씨입니다. 지리산이라면 아주 시원하겠지만요...사정상 어쩔 수 없이 지리산과 떨어져 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더위를 잊는데 도움이 될까 하여 '믿거나 말거나' 납량 이야기 몇 편을 올립니다. 2002년 '다음 칼럼'에 썼던 것을 재록합니다. ...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0 Views2154
    Read More
  4. No Image

    내 마음의 수채화 바래봉(재록)

    [요즘 여러 가지 일로 시간에 쫓겨 이곳에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2년 6월1일자 '다음 칼럼' <최화수의 지리산통신>에 올렸던 글을 대신 싣습니다. 해량 바랍니다.-최화수] ....................................................................
    Date2007.08.13 By최화수 Reply1 Views1878
    Read More
  5. No Image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3)

    불일폭포의 ‘봉명산방 봉명선인’ 변규화님에 대한 글은 아마도 필자가 가장 많이 썼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이에 대한 이야기는 물론이요, 그이로부터 듣게 된 지리산의 신비한 사연 등도 여기저기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글로 담아냈다. <지리산 365일> 전 4권...
    Date2007.07.12 By최화수 Reply1 Views2859
    Read More
  6. No Image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2)

    [다음 글은 변규화님의 타계를 안타까워하면서, 국제신문 6월26일자 '최화수의 세상읽기'에 올린 글입니다.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최화수] 지리산의 빈 자리 지리산의 큰 등불 하나가 꺼졌다. 불일폭포 불일평전 오...
    Date2007.06.27 By최화수 Reply5 Views2991
    Read More
  7. No Image

    '봉명산방' '봉명선인' 30년(1)

    ‘나는 / 세상을 向해서는 / 도무지 / 아무런 재주도 재능도 없고 / 게으르다 / 그러면서 / 또 /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 다만 내일이 오늘이 / 된다는 것과 / 오늘 이 순간까지 /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고 있다는 / 고마움 / 그것이 / 큰 행복감으로 ...
    Date2007.06.14 By최화수 Reply4 Views3079
    Read More
  8. No Image

    '신화시대' 이제 막 내리나?(3)

    1947년 1월 겨울 노고단(老姑壇). 1945년 설립된 한국산악회와 1946년 출범한 한국스키협회가 손을 잡고 해방 이후 최초의 겨울산행 겸 스키대회를 열었으니, 그 의미와 기쁨이 얼마나 컸겠는가. 제국주의 일본의 강점으로부터 되찾은 우리의 조국, 우리의 산...
    Date2007.04.25 By최화수 Reply5 Views3254
    Read More
  9. No Image

    '신화시대' 이제 막 내리나?(2)

    지리산의 본격적인 등산시대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시작됐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일제시대에는 일본 사람들이 천왕봉을 꽤 많이 찾았다고 한다. 지리산에는 큐슈대학과 교토대학이 연습림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었던 만큼 그들의 천왕봉 등정을 짐작...
    Date2007.03.06 By최화수 Reply3 Views2930
    Read More
  10. No Image

    '신화시대' 이제 막 내리나?(1)

    영생불변(永生不變), 불사영생(不死永生)이 가능할 수 있을까? 하물며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는데…. 상전(桑田)이 벽해(碧海)가 된다. 뽕나무밭을 푸른 바다로 바꿔놓는다. 세월은 그냥 흘러가지 않는다. 능곡지변(陵谷之變), 언덕과 골짜기를 서로 바...
    Date2007.02.15 By최화수 Reply6 Views32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