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587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수암은 작고 빈한한 암자이다. 그런데도 안온하고 정갈한 느낌이 앞선다.
암자 뒤편을 둘러싼 벼랑 바위와 뜰에서 건너다보고 내려다보는 지리산의 자연 풍광이 마치 숲의 망망대해를 보는 것 같다.
봄철에는 온갖 산꽃이 하늘을 떠받들고 있는 듯하고, 녹음기에는 푸른 숲이 파도처럼 멀리서 몰려오며, 가을에는 단풍이 날마다 뜨거운 불을 지피고, 겨울철엔 적막한 정적 속에 나목의 가지마다 침묵의 눈꽃을 피운다.

이 암자는 서쪽의 천인굴(일명 천용굴)에 바짝 다가서 세워져 있는데, 임진왜란 때 마을 사람 1,000명이 피난했다고 하는 얘기도 있으나 확인이나 조사가 되지 않았다.
겉보기로는 결코 큰 굴 같지가 않다.
현재는 입구 한편의 두터운 바위틈에서 흘러나오는 약수를 받아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약수 보시를 하고 있다.

암자가 세워질 때는 그 터가 명당이거나 여러 가지 유래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문수암은 옛 자취나 역사가 아니라, 현재의 스님에게 깊은 인상을 받게 되고, 그것이 누구에게나 어떤 감동과 같은 여운을 안겨준다.
영원사에서 영원스님과 청매스님, 그리고 각운선사를, 상무주암에선 지눌(보조국사)과 무의자(혜심), 대혼자(무기) 스님을 생각하게 된다.
지난날의 고승 또는 괴짜 스님의 특별한 일화들을 생각하고 또 생각하며 여러 가지 환영에 사로잡히기도 하며 오솔길을 따라 문수암에 닿고 보면, 이곳에서 만나게 되는 도봉스님이 옛 스님 가운데 어느 한 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 만큼 마음을 사로잡는다.

도봉스님은 이 문수암에서 6년째 수도생활을 해 오고 있다. 그의 첫 인상에서 혜심스님(無衣子)이 쓴 차시(茶詩)를 저절로 떠올렸다.

'오래 앉아 피곤한 긴긴밤 / 차 끓이며 무궁한 은혜 느끼네 / 한 잔 차로 어두운 마음 물리치니 / 뼈에 사무치는 청한(淸寒) 모든 시름 사라지네.'

스님은 아무 것도 입고 있지 않은 듯하고,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이 그냥 깡마른 얼굴이다.
필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청한'한 느낌의 이 스님에게서 깊은 인상과 감동을 받게 되어 몇 해 동안에 걸쳐 여러 차례 삼정봉의 이 코스를 따라 문수암을 찾았다.
스님도 이제는 필자의 얼굴을 기억한다. 그러나 서로 이름을 물어본 일도 없고, 별다른 대화를 나눈 일도 없다.
그저 필자가 길을 물어보았거나, 스님이 오미자 열매를 말리며 차 이야기를 잠깐 들려주었을 뿐이다.

문수암의 좁은 뜰을 지탱해주는 사람 키 높이의 석축 아래에 너비 1미터 남짓한 좁다란 밭이 뜰의 길이만큼 이어져 있다.
가을철에 문수암을 찾게 되면 발 아래로 불붙고 있는 단풍도 단풍이지만, 축대 아래의 좁다란 밭에서 성장한 무가 대단히 달고 깨끗하게 보여 눈길을 끈다.
시골에서 성장한 듯한 한 등산객이 이 고랭지 무를 쳐다보며 감탄을 했다.
"아유, 저 무 좀 봐! 한 입 깨물었으면 꿀맛일 것 같애!"

그러자 스님이 활짝 웃으며 말한다.
"맞아요. 서리를 맞아 아주 꿀맛입니다. 비료도 농약도 뿌리지 않았으니 마음에 드는 놈을 뽑아 드시오. 저 오솔길을 따라가며 무 베어먹는 맛도 괜찮을 거요."
"정말 뽑아먹어도 괜찮겠어요?"
"거짓말을 왜 합니까. 여기 계신 누구라도 좋아요. 제가 마음놓고 권할 것은 저것밖에 없으니까 모두 마음껏 뽑아 가세요."
머뭇머뭇하던 등산객들이 무 한 뿌리씩을 뽑아들고 즐겁게 떠들면서 멀어져 간다.

"이곳에는 밭이라곤 달리 보이는 것이 없는데, 아무나 함부로 뽑아가게 하면 어쩌지요?"
필자가 스님에게 물어보았다.
"하기는 이 무가 내 농사의 전부요. 그래도 남이 즐거운 마음으로 먹는 것은 곧 나의 기쁨이지요. 선생도 망설이지 말고 한 뿌리 뽑아가시오. 이 무는 정말 맛이 좋습니다."
이 높은 곳에서 홀로 수행생활을 계속하노라면 여러 가지로 궁핍하고 아쉬운 것이 많을 텐데도 그는 베푸는 것에서 이미 넉넉한 경지를 이루고 있었다.

한번은 필자 일행이 암자에 들어서기가 바쁘게 스님이 크게 기뻐하며 환대를 했다.
"정말 오늘은 때를 잘 맞추어 왔어요. 여러분들께 오미자차를 대접할 수 있어서 아주 기쁩니다."
스님은 큰 주전자와 사발을 우리들 앞에 내놓았다. 주전자에는 오미자차가 가득 들어 있었다. 스님의 말이 걸작이었다.
"오늘 군수영감께서 이곳에 찾아오신다는 전갈이 왔어요. 그래도 고을의 어르신이고 모처럼의 행차이신데 드릴 것이 무엇 하나 있어야지요. 곰곰 궁리해보니 저 바위 벼랑에서 따낸 야생 오미자로 차를 끓여 대접하는 길밖에 없겠구나 했지요."

스님의 말은 또 이렇게 이어졌다.
"그런데 차를 끓이다 생각해보니 군수영감만 드리고 지나가는 등산객에겐 내놓지 않는다면 이것도 참 곤란한 노릇이란 말씀이오. 음식에 사람 차별이 있을 수 없지 않겠어요...에라, 있는 것 죄다 끓이자, 하여 이처럼 큰 주전자에 끓였소. 그러니 실컷 드시오. 실컷 마셔도 군수영감님 드릴 것은 남을 테니까."
필자 일행은 스님의 말이 우습기도 하고, 깊은 뜻을 담고 있는 것도 같아 찻사발을 거푸거푸 비웠다.

문수암에서 동쪽으로 건너다 보면 바로 금대산의 유서깊은 금대암이 보인다. 그 금대암 서쪽에 안국암이 있고, 그 높은 곳까지 도로를 개설하느라 산을 어지렵혀 놓은 것이 한눈에 들어온다. 또 그 길을 따라 자동차도 올라가고, 시멘트 전주도 올라가고 있다.
"스님, 전기가 없는 이곳에서 건너편 암자의 전깃불이 혹시 눈부시지는 않습니까?"
"허허허, 글쎄올시다. 모든 것은 마음 안에 있지요."
스님은 침묵 속에 모든 것을 얘기하고 있었다.
"여기는 수도하는 곳이오. 공부하는데 필요한 것이 뭐가 있겠소. 그런데 전기는 없어도 전화는 있어요. 산불이나 비상시에 신고하라고 군에서 그저 놓아주었는데, 쓸 일이 거의 없구만요."

스님은 6년째 외롭게 정진하는 수도승의 엄격함이나 어떤 거리감이 없다. 시골 마을의 인자한 이웃처럼 길손에겐 누구에게나 친절하고, 약수 한 잔이라도 마시고 가는 것을 기뻐한다.
수도승의 길이 어떠한지 필자는 그 깊은 세계를 모른다. 이판(선방)과 사판의 스님 세계도 잘 모른다. 그러나 문수암의 도봉스님은 이미 어떤 경지를 넘어서 있는 듯이 보인다.
그는 아주 평범한 일상적인 얘기밖에 하지 않지만, 숲과 바람과 햇살과 물뿐인 높은 산속의 초라한 암자에서 그 모든 청한을 마음의 깨달음으로 바꿔 넉넉하게 살고 있는 듯하다.

"스님 옷이 몇 차례나 기웠는지 누더기 같아. 옷 한 벌 해 올리고 싶어."
한 여자 등산객이 문수암에서 삼불사로 내려가는 오솔길에서 일행에게 소곤소곤 말하는 소리가 들렸다.
..................................................

위의 글은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제3권 191~195쪽에 실려 있는 그대로 옮겨온 것이다. 서울에 있는 다나출판사에서 초판을 펴낸 것이 1991년 5월20일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보다 1~2년 전에 국제신문에 같은 제목으로 225회에 걸쳐 매일 연재가 됐던 글이다.
그러니까 이 글은 1989년 또는 1990년 초에 씌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을 쓴 날로부터 어언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갔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그 사이 문수암에는 전기가 들어가고, 필자와도 많은 일(사연)이 있었다.
하지만 전혀 변함이 없는 것도 있으니, 그것은 오직 하나, 도봉 스님이 해발 1,100미터의 빈한한 이 암자에서 청한의 수행정진을 계속하고 있는 사실이다.

엊그제 도봉 스님이 전화를 주셨다. 전화번호를 또 바꿨다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문수암에서 가장 잘 바뀌는 것이 바로 이 전화번호이다.
어떻게 전화번호를 알게 된 이들이 시도때도 없이 전화를 걸어오는가 하면, 친구며 친지들을 떼거리로 데리고 찾아오기도 한다는 것.
스님이 전화번호를 변경한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능히 짐작하는 필자는 또 한번 씁쓸한 웃음을 흘렸다.  

  
  • ?
    산천 2008.01.28 17:45
    세속의 한 사람으로 불가에 귀의할 만한 모범의 모습을 보여주시는 스님이 그저 높게만 보입니다.
    - 좋은 글, 깊이 감사드립니다 -
  • ?
    김현거사 2008.01.30 07:11
    제대로 수행하는 스님 보니 마음이 즐겁습니다.
  • ?
    東窓 2008.02.02 16:40
    수도자라고 하면 속세와는 담을 쌓고
    오직 구도에만 정진하는 것으로 연상이 되는데..
    도봉스님이 더욱 존경스럽습니다.

  1. No Image

    최상의 기호품 덕산 곶감(1)

    "시천 마천 큰애기 곶감깎기로 다 나간다"는 지리산 민요의 그 시천(矢川)과 마천(馬川)은 일찍부터 곶감으로 유명하다. 지리산 농가들이 늦가을부터 곶감을 주렁주렁 매달아놓은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특히 함양군 마천면과 산청군 시천면 일대는 집집마...
    Date2007.10.22 By최화수 Reply2 Views1924
    Read More
  2. No Image

    '정순덕 마을' 정씨 할머니

    정순덕이 태어나고 13년 동안 빨치산 활동을 하다 총을 맞고 사로잡힌 안내원 부락. 수십년 동안 귀틀집들이 죽은 듯이 자리했는데, 지금은 고래등처럼 큰 양옥이 들어서 있다. 지리산 어느 마을이든 건축허가를 받고 새 건물이 들어서는 것을 탓할 수 없다. ...
    Date2007.10.12 By최화수 Reply5 Views1810
    Read More
  3. No Image

    '정순덕 고향' 안내원마을

    내원사 앞에서 장당골과 내원골의 두 계곡물이 합쳐진다. 사찰 바른쪽이 장당골이고, 왼편이 내원골이다. 장당골은 아주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길게 이어지지만, 내원골은 이른바 '황금능선'을 향해 가파르게 치닫는다. 내원골에도 광산 개발을 위한 산판도로...
    Date2007.10.03 By최화수 Reply3 Views1988
    Read More
  4. No Image

    섬진강 기적-오영희 출판회

    다음은 지난 2002년 10월21일자 Daum 칼럼 '최화수의 지리산 통신'에 올렸던 글입니다. 섬호정님의 <섬진강 소견> 출판기념회가 섬진강변 두레네집에서 열렸었지요. 섬호정 선생님과 여러분에게 그리운 마음을 전하면서 추석 인사를 대신하여 그 때의 글을 다...
    Date2007.09.23 By최화수 Reply7 Views1765
    Read More
  5. No Image

    석주관 어찌 그냥 지나치랴!

    왕시루봉 능선이 흘러내린 그 지맥이 섬진강 청류에 잠겨들며 잠시 휴식하는 곳! 강 건너 백운산 자락의 무성한 숲이 쏟아져 내릴 듯하니, 섬진강 하류에서 거슬러 오르다보면 최고의 협곡을 이루는 곳이다. 섬진강 양안을 줄나룻배라도 오고갈 듯 하지만, 그...
    Date2007.09.07 By최화수 Reply2 Views1526
    Read More
  6. No Image

    연곡사의 부도와 순절비(2)

    연곡사의 부도와 순절비를 뒤늦게 찾아본 필자는 부끄러움에 얼굴이 달아올랐다. 이 사찰을 드나들거나 지나친 것이 도대체 몇 번이었던가. 하지만 필자는 ×눈에 ×만 보인다는 속담처럼 엉뚱한 것에만 시선을 주었을 뿐이었다. 연곡사는 필자에게 지리산을 어...
    Date2007.08.29 By최화수 Reply4 Views1956
    Read More
  7. No Image

    연곡사의 부도와 순절비(1)

    ['다음 칼럼' 재록입니다] 필자의 대학 선배 박아무개님은 학교에 나오는 것보다 전국을 떠도는 날이 많았고, 등교를 해도 강의실보다 술집에 있을 때가 더 많은 특이한 인물이었다. 그이는 필자가 결혼한다는 말을 듣고는 나타나 부조할 돈이 없다며 그 대신 ...
    Date2007.08.27 By최화수 Reply0 Views1637
    Read More
  8. No Image

    [납량 6] 종녀촌의 '성축제'

    [납량 6] 종녀촌의 '성(性)축제' 2002년 08월 02일 오래 전에 '전설따라 삼천리'란 라디오 방송 프로가 있었다. 용이 못 된 이무기며, 사람으로 변신한 백여우, 뱀과 까치의 싸움하며 으시시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 '전설따라...'보다 더 뇌리에 깊이 ...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1 Views2102
    Read More
  9. No Image

    [납량 5] 곤두선 머리카락...

    [납량 5] 곤두선 머리카락... 2002년 07월 31일 꼭 10년 전 가을철이었다. 부산의 산악인 이광전 님은 내원골로 올라 이른바 '황금능선'을 따라 단독산행을 했다. 지독한 산죽과 잡목을 헤치고 써래봉으로 오르는 능선으로 올라서느라 땀을 한 바탕 흘린 그이...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1 Views1746
    Read More
  10. No Image

    [납량 4] 목기막의 불청객들

    [납량 4] 목기막의 불청객들 2002년 07월 28일 지리산 골짜기 속의 골짜기로 '절터골'이 있다. 남부군 사령관이었던 이현상(李鉉相)이 미스터리의 죽음을 맞이했던 '빗점골 합수내 흐른바위'가 이 절터골의 시작이다. 의신마을에서 벽소령을 넘어가는 군사작...
    Date2007.08.17 By최화수 Reply1 Views19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