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2521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진은 통권 20호 특집호로 꾸민 1988년 11월호 <우리들의 산>과 부산여대 취재팀의 지리산 그룹취재를 특집으로 담은 1989년 9월호 <우리들의 산> 표지.
..............................................................

나는 <우리들의 산> 책자 발행에 너무 쉽게, 거의 맹목적이다시피 뛰어들었다.
뭘 몰라서, 아니 미쳐서 그 일을 시작했다고 한 말이 옳다.
나는 무엇보다 계산을 할 줄 몰랐다.
거의 매월 책을 펴내려면 얼마만한 돈이 들어가는지 그 계산조차 하지 못한 것이다.
나중에 생각해보니 PEN산악회에서 펴낸 <山에 山에>에 대한 미련과 오기(傲氣)가 함께 작용했던 것 같았다.

<우리들의 산>은 1987년 1월호로 첫 햇빛을 보았다. 이 창간호를 시작으로 격월, 또는 월간으로 책이 계속 펴내졌다.
그런데 그 발행, 편집인인 필자의 신분은 어떠했던가?
당시의 나는 부산일보 기자로 일하고 있었다.
나는 기자생활을 국제신문에서 시작했지만, 1980년 전두환 군사정권의 언론통폐합 조처로 회사를 옮겨 근무해야 했었다.

부산일보사 밥을 먹으면서 어떻게 <우리들의 산>과 같은 월간지를 펴낼 수 있었을까?
그 또한 ‘간이 배 밖으로 나와서 저지른’ 일이었다.
아무리 산악회지 형태의 비매품이라고 하지만, 그 내막을 들여다보면 회사에서 결코 그냥 넘길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회사 일을 하면서 다른 일을 하는 것에도 어떤 한계선(限界線)이 있을 것이다.
회사에서 ‘해고(解雇)’와 같은 중징계를 내렸어도 나로선 할 말이 없었을 터이다.

‘山에 山에’를 펴낼 때도 비공식적인 루트로 편집국장의 ‘경고 메시지’를 받은 바 있었다.
그도 그렇지만, 나에게도 일말의 양심은 있었다.
<우리들의 산>을 위해서라도 나는 회사 일을 더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래서 ‘부산문화이면사’와 ‘기인(奇人)열전’과 같은 시리즈 기사를 썼다. 이런 기획기사는 분량이 방대하여 나중에 단행본으로 묶어내기도 했다.
그 때는 원고를 육필(肉筆)로 썼는데, <우리들의 산> 글까지 쓰느라 팔이 아플 지경이었다.

<우리들의 산>은 그냥 아무 원고나 묶어서 펴내도 되는 책이 아니었다.
무가지(無價誌)로 배포하는 것이지만, ‘책의 내용’으로 후원회원을 끌어 모아야 했다.
일반 후원회원은 연간 1만 원, 특별후원회원은 연간 10만 원의 후원회비를 내도록 돼 있었다.
산악회와 같은 조직을 갖춘 상태에서 펴내는 책이 아니었으므로 말이 후원회원, 또는 후원회비이지, 실제로는 정기구독료와 다름이 없었다.

그렇다면 <우리들의 산> 책자에 무엇을 어떻게 담아야 하는지가 명백해진다.
산악애호가들에게 산악 관련 정보와 상식, 거기에다 재미와 유익함을 함께 제공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1만 원이든, 1천 원이든 누가 이 세상에 그저 버리듯이 후원금을 낼 이가 어디 있겠는가?
편집 기획에 대한 고민은 일반 상업잡지에 못할 것이 없었다.
<우리들의 산>은 매호마다 특별히 눈을 끌만한 기획기사를 싣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를테면, 1987년 5월에 펴낸 통권 제4호에는 ‘지리산의 이샹향 목통마을’을 현지 취재 특집으로 다루었다.
그 때까지 일반인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던 목통마을의 흥미로운 얘기들이 <우리들의 산>에 의해서 처음으로 외부세계에 알려진 것이다.
‘지리산의 이샹향 목통마을’ 특집은 ‘토종벌꿀의 신흥왕국’, ‘부산사람에서 목통사람 된 양영일’, ‘목통총각과 여수처녀의 큐피터 화살’ 등 풍성한 읽을거리를 담았다.

목통마을에 대한 흥미로운 글은 나중에 필자가 국제신문사로 옮겨 <지리산 365일>을 연재할 때 그대로 인용되기도 했다.
또한 이 특집기사 취재가 계기가 되어 ‘우리들의 산 지리산 오두막’ 짓기 운동 등 부수적인 일들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는 했다.
하지만 ‘목통’ 특집기사가 폭발적인 인기를 모으면서, <우리들의 산>은 제2, 제3의 ‘지리산 목통마을’ 기사를 찾아내지 않으면 안 되었다.


  • ?
    선경 2009.09.11 08:35
    회사생활과 병행하여 (우리들의산)을 발간하시는
    열정이 참으로 대단하셨군요
    어느새 가을이 성큼 다가와 있네요
    소설작품의 멋진모티브도 아름다운지리계곡풍경과 함께
    건필되시와요
  • ?
    최화수 2009.09.11 14:06
    어느새 가을이 성큼 다가왔네요.
    하지만 낮기온은 여전히 여름입니다.

    <우리들의 산>!
    20년도 더 지난 일을 기억에서 되살려 쓰고 있습니다.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게 기억되지만, 그 많은 일들이
    일시에 떠오르니 혼란이 따르기도 합니다.

    언제가 선경님에게도 좋은 작품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
    섬호정 2010.02.06 20:29
    우리들의 산!!! 책자발간에서 목통마을 특집까지 기획하시었으니 그에 다른 노고가 얼마나 힘들었을지가...상상이 됩니다 일생을 통해 지리산을 향한 집념이 훌륭한 이야기들로 글이 되어 우리들을 지리산 역사에 친근하게 빠지게 해주신 주역이신데 필력도 기획도 산 오름일에도 추종을 불허할 일입니다 고맙고도 고맙습니다 건안하시길 빕니다
  • ?
    섬호정 2010.02.06 20:35
    목통마을 차를 보내준 친지에게 목통마을의 오래전 이야기 '우리들의 산' 에서를 들려주어야 겠습니다 새롭게 목통망르을 연상하며 목통차를 소중하게 우려서 마시려 합니다 멀리서 목통차 한잔 올립니다

  1.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9)

    1988년 이태(李泰) 님이 펴낸 빨치산 투쟁 실록인 <남부군(南部軍)>(사진 위쪽)은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필자는 이 책을 의식하여 <지리산 365일>(4권 사진)은 지리산의 어두운 면보다 밝은 면을 부각하고자 했다. ............................
    Date2009.05.08 By최화수 Reply7 Views1602 file
    Read More
  2.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8)

    사진은 1990년 8월25일 초판을 펴낸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3권. 이 책의 1~4권 내용은 1989년 봄부터 국제신문에 225회에 걸쳐 매일 연재한 것을 자구 수정 없이 그대로 책에 옮겨 담은 것이다. ........................................................
    Date2009.04.23 By최화수 Reply3 Views1395 file
    Read More
  3.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7)

    필자는 지난 1980년대에 <우리들의 산>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산악모임을 이끌고 있었다. 이 모임에서 매월 <우리들의 산>이라는 책을 펴냈는데, 그 책의 대부분은 지리산 이야기로 채워져 있었다. (이 모임이 어떻게 특이했으며, <우리들의 산> 책자가 어떠했...
    Date2009.03.29 By최화수 Reply2 Views1669 file
    Read More
  4.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6)

    사진 위는 1990년 5월에 펴낸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1권 표지, 아래는 <다큐멘터리 르포 지리산> 저자인 김경렬 님 옹 모습이다. ........................................................... ‘<다큐멘터리 르포 智異山 1, 2>는 천 년을 훌쩍 뛰어넘...
    Date2009.03.07 By최화수 Reply12 Views1953 file
    Read More
  5.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5)

    위쪽은 김경렬 옹이 1988년에 펴낸 <다큐맨터리 르포 지리산> 2권 표지이며, 아래 사진은 이 책에 실려 있는 것으로 김경렬 옹이 1960년 2월 구례군 광의면에서 촬영한 것이다. 겨울방학 기간에 학생들이 지게를 지고 줄지어 지리산으로 나무하러 가는 모습이...
    Date2009.02.23 By최화수 Reply6 Views1402 file
    Read More
  6.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4)

    1987년 11월에 펴낸 김경렬 옹의 <다큐멘터리 르포 智異山 1>의 표지(사진 위). 아래 사진은 <다큐멘터리 르포 智異山 2>에 실려 있는 '화개동천의 나무다리'로 1959년 2월에 저자가 촬영한 것이다. 모든 시설물을 시멘트로 뒤덮은 요즘에는 찾아볼 수 없는 ...
    Date2009.02.14 By최화수 Reply2 Views1601 file
    Read More
  7.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3)

    위의 사진은 지리산 최초의 인문지리지 <지리영봉>을 펴낸 이종길 님. 1985년에 펴낸 책의 지은이 소개 사진을 옮겨온 것이다. 아래 사진은 이종길 님이 가장 먼저 그 신비로움을 소개한 쌍계사 국사암의 사천왕수(필자 사진). ................................
    Date2009.02.04 By최화수 Reply4 Views1621 file
    Read More
  8.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2)

    이종길 님이 1985년 10월에 펴낸 지리산 최초의 인문지리지 <지리영봉(智異靈峰)>. '발길따라, 느낀대로, 들은대로'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부산의 도서출판 일중사에서 펴냈다. ..................................................................... 1982...
    Date2009.01.23 By최화수 Reply2 Views1501 file
    Read More
  9.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1)

    사진은 2000년 8월31일 돌베개에서 펴낸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한문으로 씌어진 조선시대 선비들의 지리산 유람록을 한글로 옮겨 엮은 것이다. ............................................................. ‘지리산 이야기’를 들려주...
    Date2009.01.09 By최화수 Reply0 Views1635 file
    Read More
  10. 성락건의 '지리산 신비 안내서'(4)

    성락건 님의 오두막 '나무달마살래'의 '다오실(茶悟室)' 벽면을 장식하고 있는 다관(茶罐)과 차숟가락. 다관은 티벳과 중국 고원지대에서 성락건 님이 직접 수집한 것들이고, 차숟가락은 성락건 님이 지리산 계곡에 떠내려오는 나무뿌리로 손수 다듬은 것이다...
    Date2008.12.07 By최화수 Reply2 Views144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