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통신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1602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988년 이태(李泰) 님이 펴낸 빨치산 투쟁 실록인 <남부군(南部軍)>(사진 위쪽)은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필자는 이 책을 의식하여 <지리산 365일>(4권 사진)은 지리산의 어두운 면보다 밝은 면을 부각하고자 했다.
...............................................................................

필자가 가지고 있는 <지리산 365일>은 1~4권이 한 권씩밖에 없다. 꽤 많이 갖고 있던 것을 인터넷이 보급된 뒤 곳곳에서 요청이 들어와 죄다 기증해버렸다.
제4권의 인지를 붙인 곳에는 ‘1991년 5월 20일 초판, 1992년 10월 25일 중판 발행’이라고 씌어 있다.
서울의 도서출판 다나에서 이 책을 펴내준 것에 감사한다.
그렇지만 마지막 상황은 좋지 않다. 출판사가 아무런 연락 없이 갑자기 문을 닫는 바람에 끝마무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지리산 365일>은 필자가 재직했던 국제신문에 220여 회에 걸쳐 연재를 했던 것을 그대로 책에 옮겨 담아냈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매일 200자 원고지 12장 분량의 글을 육필로 써나간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거의 ‘동물적인 감각’으로 글을 썼던 것 같다.
그래서 독자의 눈에는 도무지 약도(略圖) 같지 않은 부실한 약도를 그려 넣었다. 그것이 책에 그대로 실렸으니 부끄럽지 않을 수 없다.

<지리산 365일> 책자 표지에는 •지리산 사람 •지리산 마을 •지리산 산길 •지리산 역사라는 부제목이 달려 있다.
사실 필자는 지리산 사람과 지리산 마을, 지리산 산길, 그리고 지리산 역사를 이 글에 담고자 했다.
그것도 아주 맑고 밝게 사는 지리산 사람과 지리산 마을, 아름다운 산길과 자랑스러운 역사를 사실대로 옮겨놓고자 했다.

당시 지리산을 곧잘 찾던 필자는 지리산의 정겨운 사람들, 인심이 넉넉한 마을, 아름다운 자연, 유서 깊은 역사문화가 좋았다. 지리산은 어둡거나 버림받은 땅이 결코 아니었다.
그것은 나의 발로, 나의 눈으로 직접 확인한 것이다.
필자가 <지리산 365일>을 쓰게 된 결정적 계기는 1988년 7월11일 펴낸 이태의 <남부군>이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지리산은 너무 어둡고 살벌하고 처절하기까지 했다.

필자가 찾은 지리산은 그러나 그 어둠에서 이미 완전히 벗어나 있었다. 평화시대, 자유시대, 낭만시대를 구가하고 있었다.
필자는 지리산의 이 건강한 모습을 널리 알리고 싶었다. 그것이 집필 동기이다.
그래서 <지리산 365일>에는 빨치산 이야기 등의 어두운 얘기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빨치산 얘기는 필자가 그 뒤에 펴낸 대하르포 <지리산 1994>, <지리산 반세기> 등에 썼다.

<지리산 365일>을 쓰기까지는 무엇보다 필자가 운용했던 <우리들의 산> 모임이 큰 뒷받침이 되었다.
필자의 이 글을 위해 ‘우리들의 산’ 르포팀이 만들어지기까지 했다.
이광전, 여승익, 김애란 등등…아무리 고마워해도 부족할 정도이다.
지리산 역사와 문화를 기술하는 데는 앞서 언급한 이종길 님의 <지리영봉>과 김경렬 님의 <다큐멘터리 르포 지리산>1, 2권 등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지리산 365일>은 200자 원고지 2700장의 분량이다. 하지만 필자의 지리산 글은 이것이 시작에 불과했다.
대하르포 <지리산 1994>(국제신문 출판국)는 대하르포 <지리산>1, 2권 분책으로 나오기도 했는데, 200자 원고지 3000장 분량이다. 이밖에 ‘빛깔 있는 책’ <지리산>과 <지리산 반세기> <나의 지리산 사랑과 고뇌> 등을 합하면 참으로 방대한 분량이다.

그것도 모자라서일까?
여기 인터넷에 이러쿵저러쿵 하는 지리산 관련 글들을 이어가고 있다.
누구 말처럼 이것도 숙명인지 모르겠다. 상식으로는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은 일이니까!
“지리산, 정말 이름 그대로 지리(지루)하고, 지겹지도 않은가?”
이런 질문을 받을 만도 하다. 그렇지만 그 질문에 대답할 말을 필자는 여전히 쉽게 찾지 못하고 있다.  
  • ?
    섬호정 2009.05.11 12:04
    여산 선생님의 지리산 집필의 역사가 생생하게 엿보입니다
    지리산의 푸르름과 함께 늘 청안하시옵길, 건필하시옵길 축원합니다
  • ?
    푸르니 2009.05.11 13:03
    선생님, '지리산 오두막 한 채를 꿈꾸다' 를 읽고 혼자 미소 지었습니다! 결론에 공감하면서요...
    저는 아직 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고 약을 처방받아 먹고 있는 건강요주의인이라 건강 컴플렉스가 좀 있답니다. 그래서 기를 쓰고 무박종주도 하려 하고 그러는 것 같아요^^ 이번에도 하고 나니까 빵빵한 기분이 한 며칠 가는 것 같네요 ㅋㅋ
    요즘 헬렌과 스콧 니어링 부부의 버몬트에서의 삶을 적은 책들을 읽으면서 소박, 단순, 여유, 자연스러운 삶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선생님 글에서 풍기는 꾸밈없는 소탈한 느낌! 참 좋답니다!
  • ?
    최화수 2009.05.11 17:06
    섬호정 선생님, 건강하게 잘 계시지요? 멀고 먼 이국땅에 계시면서도 언제나 이웃집 나들이하듯 이곳을 즐겨 찾아주시니 참으로 감사합니다.
    지난날처럼 언젠가 지리산에서 다시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두레네집에서 선생님의 시집 출판기념회를 열던 일이 눈앞에 선합니다.
  • ?
    최화수 2009.05.11 17:10
    푸르니님, 지리산 무박종주를 할 실력이면 건강검진에서 해방된 것이 아닌지요? 건강하시니까 강행군 산행이 가능할 것입니다. 천천히 걸어간다면 한 번 따라 가겠는데...
    나는 요즘 부산의 작가 배유안 장편동화 <초정리 편지>와 소년소설 <스프링벅>을 읽고 있습니다. 동화와 소년소설이 이렇게 건강하고 재미있다는 것에 새삼 놀라고 있습니다.
  • ?
    북창 2009.05.12 14:25
    민초들의 애환과 어두움의 역사가 짙게 서려있는 지리산을
    우리들에게 보다 친근하고 밝은 이미지로 다가서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그 많은 글을 써오셨군요.
    최선생님의 지리산 사랑에 다시금 감복합니다.
  • ?
    최화수 2009.05.12 15:47
    북창님, 감사합니다. 지리산 글을 쓰게 된 의도가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로는 제대로 된 글이었는지는 의문이 따릅니다.
    지리산은 우리 모두에게 어머니 품처럼 느껴지는 산입니다. 그렇지만 어두운 역사 또한 우리가 잊지는 말아야 하겠지요.
  • ?
    백두 2009.12.10 14:55
    지리산 가까운곳에서 직장생활을 하기도 하였지만 이병주의 지리산, 이태의 남부군, 지리산 365일 덕분으로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골짝 골짝을 많이 헤매고 다녔지요 책을 읽고 간 지리산은 감동 2배 였습니다 사상이 무언지도 모르고 사라져간 청춘들을 생각하며...지금도 옛날 기억을 더듬으며 가끔 찿습니다만 체력이 그때같지 않네요
    건강하십시요

  1.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9)

    1988년 이태(李泰) 님이 펴낸 빨치산 투쟁 실록인 <남부군(南部軍)>(사진 위쪽)은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필자는 이 책을 의식하여 <지리산 365일>(4권 사진)은 지리산의 어두운 면보다 밝은 면을 부각하고자 했다. ............................
    Date2009.05.08 By최화수 Reply7 Views1602 file
    Read More
  2.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8)

    사진은 1990년 8월25일 초판을 펴낸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3권. 이 책의 1~4권 내용은 1989년 봄부터 국제신문에 225회에 걸쳐 매일 연재한 것을 자구 수정 없이 그대로 책에 옮겨 담은 것이다. ........................................................
    Date2009.04.23 By최화수 Reply3 Views1395 file
    Read More
  3.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7)

    필자는 지난 1980년대에 <우리들의 산>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산악모임을 이끌고 있었다. 이 모임에서 매월 <우리들의 산>이라는 책을 펴냈는데, 그 책의 대부분은 지리산 이야기로 채워져 있었다. (이 모임이 어떻게 특이했으며, <우리들의 산> 책자가 어떠했...
    Date2009.03.29 By최화수 Reply2 Views1669 file
    Read More
  4.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6)

    사진 위는 1990년 5월에 펴낸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1권 표지, 아래는 <다큐멘터리 르포 지리산> 저자인 김경렬 님 옹 모습이다. ........................................................... ‘<다큐멘터리 르포 智異山 1, 2>는 천 년을 훌쩍 뛰어넘...
    Date2009.03.07 By최화수 Reply12 Views1953 file
    Read More
  5.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5)

    위쪽은 김경렬 옹이 1988년에 펴낸 <다큐맨터리 르포 지리산> 2권 표지이며, 아래 사진은 이 책에 실려 있는 것으로 김경렬 옹이 1960년 2월 구례군 광의면에서 촬영한 것이다. 겨울방학 기간에 학생들이 지게를 지고 줄지어 지리산으로 나무하러 가는 모습이...
    Date2009.02.23 By최화수 Reply6 Views1402 file
    Read More
  6.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4)

    1987년 11월에 펴낸 김경렬 옹의 <다큐멘터리 르포 智異山 1>의 표지(사진 위). 아래 사진은 <다큐멘터리 르포 智異山 2>에 실려 있는 '화개동천의 나무다리'로 1959년 2월에 저자가 촬영한 것이다. 모든 시설물을 시멘트로 뒤덮은 요즘에는 찾아볼 수 없는 ...
    Date2009.02.14 By최화수 Reply2 Views1601 file
    Read More
  7.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3)

    위의 사진은 지리산 최초의 인문지리지 <지리영봉>을 펴낸 이종길 님. 1985년에 펴낸 책의 지은이 소개 사진을 옮겨온 것이다. 아래 사진은 이종길 님이 가장 먼저 그 신비로움을 소개한 쌍계사 국사암의 사천왕수(필자 사진). ................................
    Date2009.02.04 By최화수 Reply4 Views1621 file
    Read More
  8.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2)

    이종길 님이 1985년 10월에 펴낸 지리산 최초의 인문지리지 <지리영봉(智異靈峰)>. '발길따라, 느낀대로, 들은대로'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부산의 도서출판 일중사에서 펴냈다. ..................................................................... 1982...
    Date2009.01.23 By최화수 Reply2 Views1501 file
    Read More
  9. '지리산 글', 누가 먼저 썼나?(1)

    사진은 2000년 8월31일 돌베개에서 펴낸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한문으로 씌어진 조선시대 선비들의 지리산 유람록을 한글로 옮겨 엮은 것이다. ............................................................. ‘지리산 이야기’를 들려주...
    Date2009.01.09 By최화수 Reply0 Views1635 file
    Read More
  10. 성락건의 '지리산 신비 안내서'(4)

    성락건 님의 오두막 '나무달마살래'의 '다오실(茶悟室)' 벽면을 장식하고 있는 다관(茶罐)과 차숟가락. 다관은 티벳과 중국 고원지대에서 성락건 님이 직접 수집한 것들이고, 차숟가락은 성락건 님이 지리산 계곡에 떠내려오는 나무뿌리로 손수 다듬은 것이다...
    Date2008.12.07 By최화수 Reply2 Views144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