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강쇠와 옹녀가 살던 마을(6)

by 최화수 posted Jul 09,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날 마천장이 생기기 전, 마천 사람들은 오도재를 넘어 함양까지 장을 보러 다녔다고 합니다.
칠선계곡 입구 임천의 금계부락에서 창원~구양리 등구~촉동을 거쳐 오도재를 넘어 살구징이와 월평리로 내려와 다시 지안재를 넘어 조동을 거쳐 함양장터에 이르는 무려 30릿길이었지요.

변강쇠와 옹녀는 마천 사람들이 함양장에서 장을 보고 난 뒤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따라 조동~지안재~월평~살구징이~오도재~촉동~등구마을...이렇게 지리산속으로 들어왔다는 얘기가 전해옵니다.

그런데 변강쇠와 옹녀가 지안재를 넘은 뒤 휴천면 월평마을에 머물렀느냐, 거기서 다시 오도재를 넘어 마천면 등구마을까지 넘어와서 정착했느냐가 알쏭달쏭한 것이에요. 두 가지 주장이 맞서고 있지 않습니까.
1489년 이곳을 넘었던 김일손의 <속 두류록>은 이 고개에서 절을 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썼습니다.

'...가도 가도 맑은 물줄기, 아름다운 산자락의 연속인데, 얼마를 더 올라 한 고개를 넘는데 종자가 말 고삐를 당겨쥐며 "말에서 내려 절을 하고 가셔야 합니다" 하고 말했다.
"절은, 무슨 절을 하는가?" 물으니 천왕사당에 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는 천왕이 어떤 것인지에 관해 더 따지지 않고 말에 채찍을 쳐서 빨리 그곳을 벗어났다...'

그런데 이곳은 오디고개-오도신(悟道神)의 고개라 하여 지금도 신의 돌비가 서있답니다.
사실 변강쇠가 살았던 곳이 월평마을이든, 등구마을이든 그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요. 어느 쪽이든 크게 보면 모두 같은 지리산이기 때문입니다.
변강쇠와 옹녀가 많은 산 가운데 지리산을 선택한 까닭이 있었답니다.
<가루지기 타령> 사설에 그것이 나오지요.

"동 금강(금강산) 석산이라 나무 없어 살 수 없고,
북 향산(묘향산) 찬 곳이라 눈 쌓여 살 수 없고,
서 구월(구월산) 좋다하나 적굴(도적소굴)이라 살 수 있나.
남 지리(지리산) 토후하여 생리가 좋다하니 그리 가서 살러가세."

월평리와 등구마을을 넘나드는 고개인 오도재는 천왕봉~노고단의 지리산 주능선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아주 이상적인 전망대이기도 하지요.
이곳에 변강쇠와 옹녀의 쌍묘가 조성돼 있답니다. 이 묘는 '변강쇠 옹녀 바로알기 선양회'에서 만든 것이라고 하는군요.
변강쇠와 옹녀가 산 마을이 월평리라고 주장하는 측도, 등구마을이라고 주장하는 측도 오도재 쌍묘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답니다.

함양군은 이 오도재에 지리산을 조망할 수 있는 야외전망대를 비롯하여 장승공원과 ' 변강쇠 옹녀 이야기관' 등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오도재를 변강쇠와 옹녀의 유적지로 개발하는 것은 함양군의 주요 관광개발 사업의 하나일 거에요.
함양군은 조동~지안재~월평리~오도재~촉동~등구~금계마을을 2차선 도로로 확포장하고 있는데, 함양읍에서 지리산을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지름길이기도 하지요.

함양의 이 오도재는 남원의 백장암계곡과 삼봉산을 사이에 두고 가까이 자리합니다. 삼봉산 산줄기로 변강쇠의 두 유적지가 연결이 되는 것이지요.
등구마천에 살던 변강쇠와 옹녀가 백장암계곡에 가서 노닐었던 것은 얼마든지 가능했을 것이고, 남원 땅이 <가루지기 타령>의 고향이란 말도 틀릴 것이 없겠네요.

함양 오도재의 '변강쇠 옹녀 이야기관'과 남원 백장암계곡의 '변강쇠 옹녀 공원'은 수㎞ 거리에 불과합니다.
지리산 답사 코스로 변강쇠 옹녀의 두 공원이 서로 비교 보완의 역할을 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남원의 변강쇠와 옹녀이든, 함양의 변강쇠와 옹녀이든, 그것이야 아무런들 뭐 어떠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