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산책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4611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사진 위는 불일폭포로 들어가는 벼랑 위에 아슬아슬하게 자리하고 있는 불일암.
아래 사진은 불일암에서 불일폭포 전망대로 내려가는 가파른 나무 계단 모습이다.
.................................................................................
최치원 선생이 공부를 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옥천대(玉泉臺)!
그곳은 불일협곡 깊고 깊은 곳에 숨겨져 있다.
원숭이가 아니면 닿을 수 없다는 그곳을 필자는 불일폭포 변규화 옹의 안내로 두 번 찾았었다. 물론 그이의 안내가 없다면 엄두도 낼 수 없는 일이었다.

필자가 처음 그곳을 찾았던 것은 1989년이었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정확하게 20년 전이다. 지금 생각하면 당시는 바람처럼 지리산 능선과 계곡을 누비고 다녔다. 그런데도 필자는 옥천대를 찾아 거의 수직 벼랑을 내려가는 일이 참으로 어렵고 힘들었다.

두 번째 옥천대를 찾은 것은 2001년 3월 29일이다. 당시 ‘Daum 칼럼’에 ‘지리산 통신’을 쓰고 있던 필자는 칼럼 회원들을 위해 변규화 옹에게 간청을 하여 다시 한번 찾게 되었다. 그 날짜 ‘지리산 통신’ 글은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의 옥천대 관련 글을 요약한 것인데, 이해를 돕기 위해 그대로 옮긴다.
........................................................................................

<최화수의 지리산 통신 제33호>
                    불일폭 협곡의 신비 '옥천대' (2001년 03월 29일)
  
불일평전에서 불일폭포로 찾아드는 300미터의 길은 지난날과 달리 넓고 안전하게 잘 닦여 있다. 절벽의 날카로운 바위를 쪼아내 길을 넓혔고, 돌계단이며 쇠난간에 쇠사슬까지 이어 놓았다. 이 안전한 길을 따라가면서도 발아래를 내려다보면 백길 낭떠러지가 현기증을 일으킨다. 아찔한 느낌 속에서도 백학봉과 청학봉 사이 깊은 협곡의 신묘한 자연세계의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일찌기 김일손은 이 협곡을 내려다보며 "신선이 살 만한 곳으로 청학동이 분명한 듯하나 지형이 험난하여 원숭이가 아니고는 찾아들 수가 없다"며 아쉬운 마음으로 발길을 돌렸다. 하지만 천여 년 전 신라의 석학 최치원은 이 깊은 협곡으로 들어가 천연 암굴에 기거하면서 '공부'를 한 끝에 신선이 되어 영생의 천수를 누리고 있다고 전해진다. 바로 최치원이 공부했다는 천연 암굴이 '옥천대(玉泉臺)'이다.

'옥천대'는 불일폭포로 가는 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불일폭포 아래 협곡으로 내려가서 계곡을 따라 500미터 가량 더 돌아가야 만날 수 있다. 누구나 그곳에 가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옥천대로 가는 것 자체가 아주 힘들고 위험하다. 무엇보다 길이 없어 그곳은 아주 신성불가침의 영역이나 같다. 그래서 불일폭포를 찾은 그 수많은 사람들도 대부분이 '옥천대'란 이름조차 모르고 있다.

변규화님이 그 '옥천대'로 안내했다. 그는 자신의 집 뜨락에서 슬리퍼를 신고 있었는데, "슬리퍼를 신고 갈까, 운동화로 갈아 신을까" 하며 잠시 망설이더니 운동화로 갈아 신었다. '슬리퍼를 신고도 갈 수 있는 길이라면…' 하고 별로 어려울 게 없을 것으로 안심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변규화 님은 길이 아닌, 거의 수직의 낭떠러지를 성큼성큼 걸어서 내려가는 모양이 꼭 신선만 같았다.

그가 마치 바람처럼 아득한 협곡으로 내려서는 것을 지켜보자 당혹감이 앞설 수밖에 없었다. 지리산의 구석구석을 나름대로 누비고 다녔던 사람으로선 생각지도 못했던 진퇴양난이었다. 그의 뒤를 따라 절벽으로 내려서긴 하면서도, 자칫하면 까마득한 아래로 곤두박질칠 것 같아 자신도 모르게 작은 나뭇가지를 부여잡고 그 자리에 아주 얼어붙은 듯이 서 있다가 다시 살금살금 내려가곤 했다.

겨우 협곡에 내려서고 보니 번잡한 세상과 단절된 별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이 협곡 바닥에서야 비로소 불일폭포 아래 또 다른 폭포가 걸려 있는 것을 알았다. 위에서는 보이지 않는 폭포가 20미터 높이로 쏟아져 내리고, 그 아래 '겹용소'(옛 문헌에는 '학연(鶴淵)'으로 기록)가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폭포수가 떨어지는 곳의 큰 용소 바깥에 또 하나의 용소가 겹으로 이뤄져 있어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참으로 신통한 모양의 '겹용소'였다.

"저쪽 안쪽 용소 깊은 곳에 여기서 가야산까지 통하는 터널이 있고, 그게 최치원 선생이 신선이 되어 두 산을 오가는 길이라고 전해온다. 내가 몇 차례나 그 터널을 찾아보려고 시도했지만, 워낙 깊고 안쪽 용소로의 접근이 어려워 실패했다." 변규화 님의 말을 들을수록 신비로움에 빨려들었다. 저 속에 신선세계가 있다는 것인가? 이곳에서 '三神洞(삼신동)'이라 새겨진 돌이 발견됐다고도 한다.

원시 상태의 바위들을 타고 계곡을 따라 한동안 내려갔다. 사방에는 오직 바위덩이들 뿐인데, 한 곳에 이르니 키가 큰 나무들이 시원한 그늘을 만들고 있었다. 물보라가 시원하게 일고 있어 에어컨 바람 같은 시원함이 느껴졌다. 그곳의 집채 같은 큰 바위가 바로 '옥천대'라고 했다. 놀라운 것은 그 바위 아래에 있는 천연암굴이었다. 아파트 거실 크기의 넓은 공간이 있고, 그와 별도로 그 안쪽에 또 하나의 서재와 같은 자리(방)가 있었다.

"최치원 선생이 이 서재에서 공부할 때는 책 하나 크기로 자연광선이 비춰졌다고 한다. 그가 그 빛을 받아서 공부를 했다고 하는데, 이제는 오랜 세월이 흘러 침식작용 등으로 그 빛이 흘러들지 않는다." 변규화 님의 설명이었다. 사실의 진위 여부는 확인할 길이 없다. 다만 천년 전의 한 지성인이 이 협곡에서 홀로 추구했던 '깨달음의 길' 그 자취가 불일폭포의 신선한 바람 속에 담겨 가슴 속까지 적셔주는 듯했다.

*부기(附記)
이상의 내용은 필자의 졸저 <지리산 365일> 제3권에 실려 있는 '옥천대'를 요약해서 옮긴 것이다. .
  • ?
    선경 2008.05.21 01:19
    바람처럼 아득한협곡을 내려서는 변규화님도
    그와함께 옥천대로 향하신 여산선생님께서도 대단하십니다
    천년전 지성인 최치원선생님의 홀로추구하신
    "깨달음길"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좋은시간이였습니다
    여산선생님 사진과 더불어 넘넘 감사드립니다
  • ?
    야생마 2008.05.23 15:42
    천년전으로 환타지 여행을 떠난듯한 느낌입니다.
    20여년전 그렇게 험하고 신비로운 곳을 탐문 하셨다니 참 대단하시네요. 저는 정규등산로도 혼자 갈땐 조바심 나며 긴장 되던데...너무 부럽습니다.
    그러고보면, 예전 말씀 하셨던 지리산의 선구자 분들, 전설적인 분들,
    기념관이라도 만들어야 한다는 말씀이 되살려지네요.

  • ?
    야생마 2008.05.27 18:34
    요즘도 '옥천대'를 찾는 사람이 있는지요?
    쉽게 다가서기 힘들듯 한데...
    저한테도 가는길을 살짝 가르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
    최화수 2008.05.29 11:11
    언제 야생마님과 함께 옥천대를 찾아볼 날을 기대합니다.
    혼자는 못 가도 함께라면 갈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 칠불암(사) 오르는 도로에서(2) 2 최화수 2002.09.18 6603
231 '지리산 산신령' 우천 허만수(5) 2 최화수 2006.06.25 6592
230 '옹녀 묘'에서 '춘향 묘'까지(4) 5 최화수 2006.09.17 6535
229 '지리산 산신령' 우천 허만수(6) 4 최화수 2006.07.05 6511
228 '옹녀 묘'에서 '춘향 묘'까지(2) 3 최화수 2006.08.15 6457
227 부산 사람들의 지리산 사랑(4) 4 file 최화수 2009.12.31 6387
226 만추의 회남재를 걸어가면... 4 최화수 2006.11.22 6349
225 '지리산을 닮은 지리산 사람' 8 file 최화수 2010.05.23 6342
224 '불일평전 야영장' 어제와 오늘 3 file 최화수 2010.07.10 6331
223 사성암에서 행복을 얻었네요 5 최화수 2006.10.26 6321
222 부산 사람들의 지리산 사랑(5) 4 file 최화수 2010.01.13 6265
221 부산 사람들의 지리산 사랑(2) 2 file 최화수 2009.12.10 6242
220 변강쇠와 옹녀가 살던 마을(3) 2 최화수 2004.06.30 6190
219 부산 사람들의 지리산 사랑(6) 5 file 최화수 2010.01.29 6132
218 선국, 마고성, 삼성궁(三聖宮)(1) 2 file 최화수 2009.07.05 6124
217 "흙 파고 씨 뿌린 일 죄가 되는가"(1) 5 최화수 2005.09.14 6067
216 '남한 땅 최후의 원시림 지대'(5) 2 최화수 2006.03.08 6056
215 엄천사(嚴川寺) 차향(茶香)(2) 1 최화수 2004.07.23 6045
214 학사루(學士樓)와 느티나무(3) 3 최화수 2004.08.10 6024
213 "흙 파고 씨 뿌린 일 죄가 되는가"(2) 4 최화수 2005.09.25 59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