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사랑방>삶의추억

2021.01.12 11:37

답산(踏山)의 의미

조회 수 2156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답산(踏山)의 의미

 

  '등산은 왜 하는가?' 하는 논제가 화제에 오른 적 있었는데, 누가 선뜻 '산이 거기에 있기에'라고 힐러리 경 말부터 꺼냈다. 그래 '그 말은 멋만 부렸지, 좀 애매한 이야기 아닌가' 하고 반문했더니, 멋진 대답 둘이 나왔다. '고마 간다'. '꽃 보러 간다'란 대답이다. '고마'란 경상도 사투리로 그냥 아무 뜻 없이 간다는 말이고, 꽃 보러 간다는 것은 순전히 웃으개 소리다. 꽃이 무엇인가. 해어화(解語花), 즉 등산 오는 여인 보러 간다는 것이다. 한바탕 웃었다.

  노년의 취미로는 불경이나 성경을 읽거나, 꽃나무를 키우거나, 필묵(筆墨)으로 한시를 써보거나, 바둑 두는 일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 어울리는 취미가 답산(踏山)이다. 노인이 지팡이 짚고 산기슭 거니는 모습은 신선을 연상시킨다.

  등반, 등산, 산행, 답산이란 말이 있지만, 여기선 답산이란 용어를 쓰기로 하자. 시서(詩書)를 농(弄)하는 데도 법이 있으니, 선비의 답산에 법이 없겠는가. 나는 그 법을 산수화 이론에서 찾았다. <개자원 화전>에, '그림 속에 시가 있고, 시 속에 그림이 있다'는 말이 있다. 산수(山水) 속에서 그럴듯한 풍경을 찾고, 시를 찾는 것이 선인들 답산의 의미일 것이다. 그래 화론(畵論)에 구체적으로 나오는 안개나 물, 바위와 나무, 산길 등에 대한 이론들을 유심히 살펴보았다.

  안개를 주목해야 함은 명백하다. 산도 안갯속의 산이 더 신비롭다. 산이 미인이라면 안개는 그 미인의 얼굴을 가린 스카프다. 먼 산 아지랑이처럼 신비로운 경치는 없다. 산을 볼 때는 이런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주산(主山)은 높이 솟아야 좋고, 구불구불 연결되어야 좋고, 세(勢)가 우람한 기상이 있어야 좋다. 뾰족한 것을 봉(峰)이라 하고, 둥근 것을 만(巒)이라 하고, 서로 연(連) 한 것을 영(嶺)이라 하고, 절벽에서 오랜 풍설에 닦이고 씻겨져 납작하게 튀어나온 바위를 파(坡)라 하며, 산 사이에 끼어 흐르는 물을 간(澗)이라 한다.

  그 산에 백운(白雲)이 걸치어 층을 이루어 산을 가로막고, 구름이 열린 곳에 창천(蒼天)이 나타난 모습을 운산(雲山)이라 하고, 나무 사이에 안개 덮인 것을 운초(雲梢)라 한다. 어쨌든 구름과 안개는 산에 비단옷 입히는 시인이다. 아침에 이내가 끼고, 저녁에 노을 낀 것을 도연명은 '산기 일석가(山氣日夕佳)'란 구절로 표현했다. 산 기운은 아침저녁이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야기는 간단하다. 안개와 노을이 산을 더 신비롭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다음에 주목할 것은 물이다. 바위를 안고 흐르고, 나무를 감돌아 흐르고, 폭포를 이루고, 쏘가 되기도 하는 것이 물이다. 물은 나무를 적시고, 바위를 적시고, 다람쥐와 청설모 같은 산짐승의 목마름을 해갈해준다. 천지를 적시고, 만물을 함양(涵養)한다. 물소리는 자장가 마냥 다정하기도 하고, 가늘게 흐느끼기도 한다. 마침내 집채 같은 바위를 흔드는 우뢰 소리로 변하기도 한다. 이 물소리를 불가에서는 팔만사천 법문이라고 하고, 부처님 장광설(長廣舌)이라고도 한다.

  산에 가서 하루 종일 물가에 앉아있어도 탓할 이 없다. 약수도 한 모금 마셔보고, 물소리에 귀도 기울여 보고, 시원한 물에 얼굴도 씻어봐야 한다. 폭포와 쏘도 눈여겨보아야 하고, 물에 비친 바위와 나무와 흰구름도 유심히 보아야 한다. 조용한 물소리와 시원한 바람소리 들으면서 차나 시주(詩酒)를 즐기는 운치도 잊어선 안 된다. 그런데 산에 와서, 마치 마라톤을 하듯 열심히 꼭대기로만 치닫는 분들이 있다. 나는 그분들이 왜 산에 왔는지 묻고 싶다. 산에서 산(山)과 수(水)가 만나는 곳, 진경산수화 펼친 곳은 계곡이다. 계곡에 오래 머무는 것은 그래서다.

  산의 바위와 초목도 그냥 무심히 보아 넘겨서 안된다. 둘 다 기절(奇絶)하여 천하절경이지만, 설악산은 바위가 좋고, 지리산은 나무가 좋다. 설악산 천불동, 거제도 해금강이 이름난 것은 빼어난 암산이기 때문이다. 미원장(米元章)은 기묘한 바위를 보면, 기뻐 말하기를, '이것은 나의 절을 받을만하다' 하고 예를 갖추어 절하고, 매양 석우(石友)라고 불렀다. 죽림 아래 물가에 나온 토파(土坡)는 은자를 기다리는 것 같아 좋고, 산 정상 기봉(奇峰)과 괴석(怪石)은 무심히 구름을 모으고 바람을 몰아치는 듯한 세(勢)가 있어 좋다. 만장 같은 바위에 손바닥을 대고 천년 세월을 느껴봐도 좋고, 이끼의 고색(古色)을 감상해도 좋다. 청태(靑苔) 속에 피어난 가냘픈 풀꽃을 감상하는 것도 좋은 취미이다. 눈 덮인 바위, 달빛 비친 바위를 보며 시상(詩想)에 잠겨도 좋다. 어쨌든 바위는 산의 뼈대이며, 좋은 산은 반드시 좋은 뼈대를 지니는 법이다.

  산의 나무를 감상함에는 먼저 뿌리를 보는 것이 좋다. 천인 단애에 솟아 암석에 끼이고 빗물에 씻긴 나무가 노목이 되면, 흔히 뿌리를 노출하고 있다. 마치 세상을 벗어난 선인이 여윌 대로 여위고 나이가 늙어서, 근골이 울퉁불퉁 불거져 나온 것과 같아서 운치가 있다.

  지리산 법계사 가는 길에 용 같은 뿌리로 바위를 감고, 서너 개 가지를 창공에 거침없이 뻗은 거대한 반송(盤松)이 있다. 이런 기목(奇木)은 어떤 호사가가 제아무리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구하려 해도 얻지 못할 나무이다. 나는 이 나무를 목우(木友)로 느끼고, 예를 갖추어 절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 적 있다. 곁에 닦아가 한동안 나무를 만져보며 나무의 숨결과 바람 타고 날아가는 향기를 맡은 적 있다.

  수원 광교산 정상 근처에는 거대한 철쭉나무가 많다. 높은 곳에 자라는 철쭉은 꽃빛이 연분홍이고 키는 우리 두배가 될만치 거대하다. 풍우에 흙이 벗겨져나가서, 전화통처럼 크고 기괴한 뿌리가 노출되어 분재하는 사람 넋을 빼놓기에 충분하였다. 약수터 가는 길에는 노스님이 짚고 다니는 주장자처럼 생긴 운치 있는 소나무 뿌리가 뻗어 있었다. 땅에 구불구불 노출된 그 뿌리는 오랜 세월 사람의 발길로 반질반질 윤이 나 지팡이로는 최고의 물건이었다.

  대체로 산에 가서 갈 길을 잊은 듯 나무의 수형과 뿌리 모습에 반하여 한가히 살펴보는 습관은 바람직하다, 낭떠러지에 난 것, 돌 위에 난 것, 비스듬히 굽어 바람 타고 다니는 선인(仙人) 같은 것, 물결 밟고 다니는 신녀(神女) 같은 나무를 볼 수 있다. 이 나무 하나하나를 손뼉을 치면서 득의(得意)하여 구경하는 것이 좋은 취미이다.

  고인(古人)은 좋은 산에 좋은 산길이 없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산길은 구불구불하여 숨었다가 보였다가 해야 한다. 산길이 죽은 뱀처럼 꼿꼿하면 안 된다. 은사(隱士)가 나귀 타고 다닐만한 길이어야 하고, 산속 어딘가에 유인(幽人)이 싸리문 열어놓고 은거한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는 길이어야 한다. 눈 덮인 산속에 홀로 핀 매화가 생각나는 길이어야 하고, 맑은 바람에 머리를 씻은 고사(高士)가 달 아래서 거문고 타는 소리를 상상해볼 만한 길이어야 한다.

  모름지기 흉중에 이런 풍류가 있어야 비로소 답산의 의미를 안다 할 것이다. 그러나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지금 우리 주변에 고인(古人)의 뜻은 멀고, 시(詩)는 실종되었다. 그래 글로서 한번 옛 선비들의 뜻을 헤아려보았다.(2020 경북신문 수상)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
    오해봉 2021.01.12 21:28
    제가지금 사는곳이 관악산 자락이라
    오후에는 거의 산길을 걷는답니다
    오늘 오후에 눈이온다는 예보는 알았지만 산속에서
    폭설을 만나서 모자로 눈을 여러번 털었네요
    혹시나하고 아이젠을 갖고간게 참다행 이었네요.
  • ?
    허허바다 2021.01.12 23:40

    높은 뒷산을 지고 살다 보면 산이 무서워지더군요.
    한겨울 예전처럼 설산의 정취에 반해 홀로 올랐다가 숨은 얼음길에 골절이라도 당하면 바로 죽음의 문 앞에 서야 하니깐요.
    한여름 시원한 숲 그늘이 그리워 홀로 깊은 계곡에 들었다가 우글거리는 뱀들의 신경을 건드려 물리기라도 한다면 또 그렇더라구요.
    맹수, 독충, 독초, 부서지려는 바위, 물을 잔뜩 머금은 흙, 큰 비 오고 난 후 쿵쾅거리는 계곡물, 모두 마찬가지더라구요.
    예전에 화려한 장비들만 믿고 겁 없이 산속을 헤집고 다닐 때를 떠올리면 식은땀이 난답니다.
    더군다나 비박하고, 밤중 산길을 내달리고... 으...
    산신령이 도우사 이리 살아 있음을 이제야 깨닫고 반성하며,
    그래서 전 그냥 산 아래에서 그저 바라만 보기로 했습니다. ^^*

  • ?
    슬기난 2021.01.13 03:46
    사람마다 산에 드는 이유가 다양하여 그 이유를
    말하자면 끝이 없겠지요.
    그져 산에 들면 무념무상의 상태로 머물다 내려오곤 합니다만
    화가와 문인의 눈으로 본 산수화와 서정시도 좋고
    땀냄새 나는 치열한 산행기도 아직 좋습니다.
    조근조근 일러 주시는 답산의 의미, 깊이 새기겠습니다.
  • ?
    김현거사 2021.01.13 10:49
    1558년, 조식(1501~1572)은 제자들 일행과 함께 지리산 여행을 떠났다. 『두류산유람록』을 보면 각자 초립을 쓰고 지팡이를 짚고 짚신을 미끄러지지 않게 동여매고는 산을 올랐다는 기록이 있다. 조식은 산을 오르는 데만 만족하지 않았다. 지리산 곳곳의 유적들을 보고 역사 속 인물들을 떠올렸고, 세금이 무거워 백성들이 고통을 받는 현실을 기록으로 남겼다. 기행문의 말미에서 조식은 지리산 산행을 떠난 것이 11회나 된다고 하였다. 오늘날 아무리 산을 좋아한다 해도 지리산을 열한 번이나 간 사람은 드물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삶의 추억 운영자 2004.07.21 3574
46 음악 2 김현거사 2006.05.16 4232
45 판소리 춘향가 3 김현거사 2006.10.02 4077
44 물 따라 바람 따라 2 김현거사 2006.05.24 3826
43 인생 3 김현거사 2006.03.15 3748
42 연극 혼자서 보는 날 7 섬호정 2005.02.25 3725
41 명창 안숙선의 소리 세계 2 김현거사 2005.11.04 3658
40 [re] 연극 속으로: 사랑을 사르다 2 도명 2005.03.02 3553
39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3 섬호정 2004.10.27 3381
38 촌사람 북경유람기 3 강미성 2005.08.24 3380
37 동침하는날 새벽에~ 섬호정 2005.08.23 3371
36 지리산의 사계(四季) 5 김현거사 2021.09.18 2639
35 지리산이 생각나는... 1 gunners 2011.05.26 2429
34 그리운 지리산 3 김현거사 2021.07.03 2371
33 청담스님 5 김현거사 2004.12.09 2310
32 화개동천 '달빛초당' (1) 1 김현거사 2021.03.05 2291
31 추억의 교정 가을 운동회 8 섬호정 2005.01.09 2249
30  '나는 자연인이다' 3 김현거사 2021.01.10 2174
29 바위. 그 여러 모습에 대한 명상 1 김현거사 2021.02.26 2168
» 답산(踏山)의 의미 4 김현거사 2021.01.12 21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