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리산

지리마당>최화수의 지리산산책

최화수 프로필 [최화수 작가 프로필]
조회 수 4669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561년 남명 조식 선생은 회갑을 맞은 해에 고향을 떠나 빈손으로 지리산으로 찾아들어 천왕봉이 올려다보이는 양당촌(덕산, 경남 산청군 시천면 사리)에 '산천재(山天齋)'를 열게 된다.
그이는 운명을 하기까지 12년을 이곳에서 마지막 삶을 사는데, 그 이전에 지리산을 무려 17차례나 탐승한 뒤 낙점을 찍었던 곳이다.
그이가 노후의 자신을 의탁하기로 한 그 당시의 양당촌의 모습을 읽게 해주는 글이 있다.

'덕천강을 따라 한 좁은 벼랑을 타고 들어가니 발 아래 강이 길게 누워 흘렀다. 거울같은 맑은 물에 고기떼가 헤엄쳐 놀고, 새들은 숲에 날아들며 노래한다. 냇바닥의 돌들이 기이하고 거대하여 눈길을 끈다. 그저 즐거울 뿐이다. 이윽고 찾아든 곳이 양당촌이란 마을이었다. 집집마다 나무를 길러 숲을 이루었고, 감나무가 집들을 둘러 그윽하니 가히 무릉도원을 연상케 한다.'(남효온의 '유산기초' / '진양지')

남명 스스로도 이곳이 얼마나 마음에 들었으면 아주 '무릉도원'이라고 단정하는 시조를 읊었다.
'두류산 양단수를 예 듣고 이제 보니 / 도화 뜬 맑은 물에 산영조차 잠겼어라 / 아희야 무릉도원이 어디냐 나는 옌가 하노라.'
양당(兩塘)이란 마을의 이름과 양단(兩端)이란 물의 이름은 중산리계곡에서 흘러온 신천 물과 대원사계곡에서 흘러온 삼장천이 이곳에서 한데 모여 덕천(德川)이 되는 데서 붙여진 것이다.

덕산(시천면사무소 소재지)에서 신천과 삼장천이 나눠지듯, 지금은 그 계곡을 따라 도로도 나뉘어진다.
바른쪽인 삼장천으로 따라가면 대포리(삼장면사무소 소재지)에서 장당계곡이 합류한다. 이 계곡으로 거슬러 오르면 내원사에서 다시 둘로 나뉘는데, 왼편 내원골 가장 깊숙한 해발 800미터에 안내원마을이 있다.
또 대포리에서 곧바로 도로를 따라 직진하면 밤머리재가 가로막는데, 바로 그 아래에 홍계리가 있다.

440년 전에 남명이 양당촌(덕산)을 무릉도원, 곧 청학동이라 생각하고 고향을 등지고 찾아들었듯이 근세에도 위의 안내원마을과 홍계리를 '십승지(十勝地)'의 이상향으로 믿고 찾아든 가족들이 있다. 지리산에는 전설적인 이상향인 청학동이 있다고 믿는 '정감록'의 신봉자들이다.
청학동이란 각종 난리로부터 벗어나 있고, 항상 먹을 것이 넉넉하며, 무병장수하게 된다는, 소위 십승지의 이상향을 일컫는 것이다.

경남 산청군 단성면 소남리에 살던 정주삼이란 사람은 '정감록'을 신봉하는 비결장이로 무려 70리나 떨어진 지리산 안내원마을로 가족들을 데리고 옮겨왔다. 그의 1남4녀 가운데 둘째딸의 이름이 정순덕이다.
경북 청도군 풍각면에서 5백석의 부농으로 잘 살던 이아무개도 '정감록'에 빠져들어 일제말기에 밤머리재 아랫마을 홍계리로 옮겨왔다. 그이 역시 1남4녀를 두었는데, 외동아들의 이름이 이홍희였다.

'정감록'을 신봉한 두 비결장이의 딸과 아들인 정순덕과 이홍희는 '지리산 최후의 망실공비 2인부대'로 악명을 떨치게 된다.
7년 동안에 걸친 빨치산과 토벌대의 살육전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고 빨치산을 죄다 섬멸했으니 "이제는 안심하고 오십시오"란 방을 내걸었던 게 1955년 봄이었다.
하지만 정순덕 이홍희 2인부대는 그로부터 무려 8년이 더 지나도록 지리산 곳곳을 누비고 다니면서 유혈투쟁을 계속했다.

이홍희는 초등학교를 졸업한 해였던 15세 때 여순반란 패잔병들이 웅석봉을 넘어 홍계리로 들어오는 바람에 '인민공화국 소년단'에 입단했다. 곧 군경토벌대가 들이닥치자 그는 밤머리재를 넘어 재실로 도망갔다.
하지만 토벌대가 그곳까지 몰려왔다. 그는 다시 밤머리재를 몰래 넘어와 아버지에게 하직 인사를 올렸다.
"아부지. 지가 살라카믄 산으로 들어가는 수밖에 없겠십니더. 아부지, 지는 인자 갑니데이."

이렇게 입산한 이홍희는 63년 11월18일 정순덕이 태어난 안내원마을에서 피살될 때까지 다시는 아버지의 얼굴도 보지 못한다. 2인부대 파트너 정순덕도 다리를 절단해야 할 중상을 입고 생포됐다.
13년 동안 지리산 최후의 망실공비 2인부대로 전설적인 투쟁을 벌인 정순덕 이홍희의 아버지들이 '정감록'을 신봉한 비결장이로 잘 살던 고향을 등지고 십승지라며 지리산으로 찾아든 것도 절묘한 운명의 장난이었다.

하지만 두 집안은 아들 딸이 빨치산으로 입산한 것과 함께 풍비박산이 나고 말았다. 난리를 피할 수 있는 이상향이라며 찾아든 것이 오히려 기름을 들고 불속으로 뛰어든 꼴이 되었다.
이것이야말로 '십승지의 슬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홍계리는 밤머리재와 왕등재를 등지고 있는 포근하고 아름다운 마을이다. 하지만 소년 빨치산 이홍희의 "아부지, 지는 갑니데이"의 슬픈 사연이 지워지지 않고 있는 곳이다.
  • ?
    오 해 봉 2007.09.25 23:52
    지리산 마지막 빨치산 정순덕과 이홍희의 애절한 이야기가
    시작 되는것같아 흥미롭습니다,
    어느책에선가 정감록과 그를 추종하는 비결장이들에 대해서
    읽어본 기억이 납니다,
    여산선생님의 자세한 실록을 기다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 천왕봉 일출과 인간 피라미드 4 최화수 2007.12.27 4563
211 늘었다 줄었다 고무줄 산길(2) 5 최화수 2007.11.12 9928
210 늘었다 줄었다 고무줄 산길(1) 1 최화수 2007.11.01 4663
209 천은사와 태안사와 선암사 (6) 1 최화수 2007.10.22 4509
208 '밤머리재'와 '동, 서왕등재'(4) 2 최화수 2007.10.22 4534
207 '밤머리재'와 '동, 서왕등재'(3) 3 최화수 2007.10.12 4718
206 '밤머리재'와 '동, 서왕등재'(2) 1 최화수 2007.10.03 6849
» '밤머리재'와 '동, 서왕등재'(1) 1 최화수 2007.09.24 4669
204 천은사와 태안사와 선암사 (5) 3 최화수 2007.09.02 4413
203 천은사와 태안사와 선암사 (4) 1 최화수 2007.09.02 4257
202 천은사와 태안사와 선암사 (3) 1 최화수 2007.09.02 4372
201 천은사와 태안사와 선암사 (2) 1 최화수 2007.09.02 4160
200 천은사와 태안사와 선암사 (1) 최화수 2007.09.02 4417
199 매산 솟대, 개암주 돌장승(재록) 3 최화수 2007.08.24 4420
198 '흥부' 출생지와 발복지(2)(재록) 3 최화수 2007.08.13 4478
197 '흥부' 출생지와 발복지(1)(재록) 2 최화수 2007.08.13 4614
196 케이블카가 '군민 염원'인가?(3) 4 최화수 2007.07.12 4867
195 케이블카가 '군민 염원'인가?(2) 4 최화수 2007.06.27 5130
194 케이블카가 '군민 염원'인가?(1) 4 최화수 2007.06.14 4955
193 들불처럼 번져나간 농민항쟁(2) 8 최화수 2007.04.26 51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
위로